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내년 48개 지역주력산업에 3천여억 원 투입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내년 48개 지역주력산업에 3천여억 원 투입

‘2021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 확정’ 지역균형 뉴딜 촉진

기사입력 2020-12-30 14:29:3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내년 48개 지역주력산업에 3천여억 원 투입

[산업일보]
정부가 디지털·그린 뉴딜 분야 지역 주력산업과 기업에 자금을 투입키로 했다. 규제자유특구 도입 후 가시적 성과 창출로 지역 성장을 뒷받침 하겠다는 생각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9일 비수도권 14개 시·도와 함께 지역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14개 시·도의 2021년 지역산업·기업 육성전략과 정부·지자체의 예산 투자계획을 담은 '2021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2021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은 지난 11월 26일 중기부가 발표한 '지역혁신 중소기업 육성전략'의 실행과 지역산업 지원의 전략성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뒀으며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각 시·도가 지역별 특성을 반영해 수립했다.

이번 진흥계획의 중점 추진방향은 4가지로 ▲지역균형 뉴딜 촉진을 위한 지역주력산업 개편 ▲지역균형 뉴딜 확산을 주도할 지역혁신 선도기업 중점 육성 ▲품목지정형 과제 기획 등 지역의 자율성·전략성 강화 ▲지역기업 전용 장비구축을 통한 지역거점기관 역할 강화 등이다.

지역주력산업에 대해서는 '지역혁신 중소기업 육성전략'을 통해 디지털 뉴딜 관련 산업 20개, 그린 뉴딜 관련 산업 19개, 지역기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9개 산업 등 총 48개의 주력산업 개편결과를 밝힌 바 있다.

내년 48개 지역주력산업에 3천여억 원 투입

'2021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통해 14개 시·도는 개편된 지역주력산업과 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과 2021년 총 2천942억 원(국비 2천129억 원, 지방비 813억 원)의 투자계획과 사업별 추진방안을 확정했다. 지역별 투자규모는 평균적으로 207억 원 수준이며 모두 지역주력산업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향후 5년간(2021∼2025년) 신규고용 1만2천 명, 사업화 매출액 1조2천억 원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역경제위원회는 '성과창출을 위한 규제자유특구 사후관리 방안'을 통해 특구 상시점검 체계 구축·운영, 특구 운영 성과평가와 실증 종료 후 특구 안착화 추진방안을 논의하고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요청했다.

이어 '2020년 지자체 중소기업 지원사업 신설·변경 사전협의 결과'를 비롯해 지역이 당면한 현안과 문제점을 공유하고, 중기부가 지역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신속한 문제 해결에 협조할 것을 약속했다.

내년 48개 지역주력산업에 3천여억 원 투입

중기부 강성천 차관은 “지역주도로 수립한 '2021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은 지역균형 뉴딜 실현의 청사진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중기부는 앞으로 지역균형 뉴딜 추진의 동반자로서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지역균형성장을 위해 지역별로 추진중인 규제자유특구사업에서 성과가 지속적으로 창출될 수 있도록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철저한 관리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