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정부, 경영난 중기 50개 사에 선제적 지원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정부, 경영난 중기 50개 사에 선제적 지원

기사입력 2021-02-19 19:15:0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1. 자동차부품 A 생산업체는 버스 내장부품(버스용 창틀, 바닥재) 제조사로 주거래처의 노사문제, 생산기지 해외이전 문제 등에 따른 매출 급감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 정부의 신규 유동성 공급(2억 원) 이후 거래선‧품목 다변화(전기버스 부품생산) 등 자구노력을 통해 올해 25억 원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2. B 업체는 의류‧마스크 생산과 군복, 유니폼 제조기업으로 개성공단 철수 후 원주에 공장 설립 등 시설투자를 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발주중단으로 유동성 위기가 발생해 그 이후 마스크 제조업으로 전환했다. 이 회사 역시 신규 유동성 공급(6억 원) 및 관련 설비 도입 이후 신규 거래처 확보(6억장 계약체결) 등으로 지난달 부터 월 5천만 장 규모를 납품하기 시작했다.

정부, 경영난 중기 50개 사에 선제적 지원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코로나19 장기화와 경기침체 지속에 따른 유동성 위기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 지원을 위한 ‘선제적 구조개선 프로그램’을 오는 22일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선제적 구조개선 프로그램’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협력은행(기업은행 등)을 연계해 경영위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구조개선계획 수립비용(최대 90%)과 신규자금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업력 3년 이상 법인기업 중 신용공여액 총 합계가 100억 원 미만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지난해 하반기 시범운영(10개 사 목표)을 통해 기업은행과 공동으로 신규 유동성 공급, 만기연장, 금리인하 등 15개 사에 55억 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올해는 자금 지원규모를 250억 원으로 확대하고 50개 사 내외의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구조개선계획 수립과 신규자금을 연계지원할 계획이다.

시범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협력은행 범위와 권역별 협업 회계법인을 확대하고 신규 금융지원 수단을 발굴하는 등 지원방식의 다변화도 추진해 구조개선 지원의 실효성을 제고해 나갈 예정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전국 18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재도전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