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2분기 제조업 체감경기 ‘대폭 개선’
김진성 기자|weekendk@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2분기 제조업 체감경기 ‘대폭 개선’

2분기 체감경기전망지수 ‘99’기록하면서 전분기보다 ‘24P’올라

기사입력 2021-04-05 10:36:3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2분기 제조업 체감경기 ‘대폭 개선’


[산업일보]
제조업 체감경기전망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따른 수출 증가와 2월말 시작된 국내 백신 접종이 경기회복 기대감을 한층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로나 재유행 가능성과 환율 변동성, 금리 발작 가능성 등에 대한 불안심리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최근 전국 2천 2백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분기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보다 24p 상승한 99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대한상의는 “주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및 전세계 백신접종 확대에 힘입어 최근 3개월(2020.12~2021.2) 동안의 수출이 전년대비 11.1% 증가하는 등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이에 더해 최근 국내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심리도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수출과 내수부문의 체감경기는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됐다. 2분기 수출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109로 직전분기(82)보다 27p 상승했으며, 내수부문은 97로 24p 올랐다.

업종별로는 ‘화장품(107)’, ‘IT가전(105)’, ‘기계(105)’, ‘의료정밀’(104), ‘식음료’(103) 등이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기준치(100)를 웃돈 반면, ‘조선·부품(71)’업종은 기준치를 밑돌았다. 조선업계는 대형조선사들의 경우 최근 수주랠리를 이어가고 있지만, 중소형조선사들의 일감 가뭄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경영 전반에 영향을 미칠 대외 리스크’로는 ‘환율변동성’(42.9%), ‘유가 등 원자재가 상승’(27.9%), ‘미중 무역갈등을 포함한 보호무역주의’(25.5%), ‘신흥국 경기침체’(24.3%) 등의 순으로 꼽았다. <‘북한이슈’ 1.2%, 복수응답>

대내 리스크로는 ‘코로나 재유행’(77.5%), ‘기업부담법안 입법’(28%),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국내 금리 발작 가능성’(27.1%), ‘가계부채 증가’(12.6%) 등의 순으로 꼽았다. <‘반기업 정서’ 7.8%, 복수응답 >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최근 기업들의 경기회복 기대심리가 살아나고 있지만, 대내외리스크 요인들도 적지 않다”면서 “기저효과를 넘어선 실질적 경기회복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코로나 방역과 백신접종에 대한 범국민적 협조와 함께 원자재 가격 상승과 미국발 금리 발작 가능성 등에 대한 정책당국의 선제적 대응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