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 세계 180여 개 국가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하 KIEP)의 '주요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현황 및 접종률 제고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21일 기준 전 세계 178개국에서는 약 27억 회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뤄졌다.
북미, EU 등의 고소득 국가에서는 접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와 아프리카 상당수 국가의 접종률은 5% 미만으로 저조한 상황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 주요국은 지난해 12월 백신 접종을 시작한 후 확진자가 급증했으나, 봉쇄에 준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해 확산세를 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적 거리두기와 백신 접종을 병행한 국가에서는 유행이 통제되는 반면, 방역 강도를 높이지 않고 백신 접종만 시행한 나라에서는 유행이 쉽게 잡히지 않고 있다.
보고서는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페루, 말레이시아 등을 예로 들며 백신 접종률이 낮은 상태에서 방역조치를 완화했던 국가들은 대부분 감염 확산을 겪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일부 국가는 금전적 인센티브 혹은 현물 제공을 통해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미국의 각 주정부는 무료 음료 등의 현물을 제공하거나 성인에게는 백신 복권, 학생에게는 장학금을 지급하는 등의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홍콩, 호주, 독일 등의 국가에서는 민간기업 차원에서 백신 접종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독일의 한 소매기업은 기업의 근로자가 백신 접종을 완료할 경우, 자체적으로 50유로의 기프트카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에게 완화된 코로나19 규제를 적용하는 등 비금전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도 한다.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에서는 백신 접종을 완료한 경우 예외 규정이 있지 않은 한 실내외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백신 접종자에 대해 마스크 착용을 해제하는 등의 조치는 감염차단 효과를 제한적으로 만들며, 변이 바이러스 유입, 미접종자 행동 변화 등의 문제 대응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백신의 감염 예방효과가 100%가 아니라는 점도 접종자에 대한 신중한 방역 조치 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KIEP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볼 때 금전 또는 현물 인센티브 등의 외부적 동기를 통한 접종 독려는 향후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혹은 다른 질병의 예방접종에 대한 수용률을 낮추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코로나19 유행 통제와 일상 회복을 위해 백신 공급이 지연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접종률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