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2@
@IMG3@
@IMG4@
@IMG5@
@IMG6@
@IMG7@
@IMG8@
[산업일보]
‘0.5%’라는 초저금리 시대가 지난달 말 15개월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 지난 2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지금의 0.5%에서 0.25% 상승한 0.75%로 올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금통위는 이번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으로 가계부채의 급증과 자산시장 과열, 코로나19 대유행이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예상보다 약하다는 점들을 들었습니다. 아울러, 소비자 물가의 지속적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 것도 금리인상의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
금리인상 소식을 들은 경제단체들은 ‘사정은 이해한다’고 하면서도 일제히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코로나19로 인한 취약계층의 고통이 장기화되고 있다”고 말했으며, 중소기업중앙회도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올해 내로 한차례 더 금리인상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보고 있어 국내 경제계는 그야말로 ‘시계제로’의 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경제활동이 서서히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면서 금리도 조금씩 상승세를 탈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인상을 더 이상 미루기는 힘들어진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때입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
[산업일보]
‘0.5%’라는 초저금리 시대가 지난달 말 15개월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 지난 2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지금의 0.5%에서 0.25% 상승한 0.75%로 올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금통위는 이번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으로 가계부채의 급증과 자산시장 과열, 코로나19 대유행이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예상보다 약하다는 점들을 들었습니다. 아울러, 소비자 물가의 지속적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진 것도 금리인상의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
금리인상 소식을 들은 경제단체들은 ‘사정은 이해한다’고 하면서도 일제히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코로나19로 인한 취약계층의 고통이 장기화되고 있다”고 말했으며, 중소기업중앙회도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올해 내로 한차례 더 금리인상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보고 있어 국내 경제계는 그야말로 ‘시계제로’의 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경제활동이 서서히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면서 금리도 조금씩 상승세를 탈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인상을 더 이상 미루기는 힘들어진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때입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 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