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친환경 트렌드로 화이트 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기술 수준은 미국과 3년 이상의 격차가 나고 특허 및 논문의 질적 경쟁력도 낮다는 주장이 나왔다.
화이트 바이오산업이란 바이오(생명공학) 기술이 접목된 친환경 화학·에너지 산업으로, 기존 화학·에너지 산업의 소재를 바이오매스(식물, 미생물, 효소) 유래 물질로 대체한 것을 말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최근 화이트 바이오산업 현황과 과제에 대해 분석해 세계 화이트 바이오산업 시장 선점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의 예산 및 정책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화이트 바이오산업은 석유 기반 제품이 가진 생태 유해성과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은 분해 기간이 5년 이내로 페트병(450년)이나 비닐(20년)에 비해 비교적 친환경적이다. 생산 과정에서도 석유 기반 제품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절반 수준이기도 하다.
지난 5월 호주의 비영리기관인 민더루재단(Minderoo Foundation)이 발표한 '플라스틱 폐기물 제조업체 지수‘에 따르면, 2019년 한국의 1인당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량은 44kg에 달했다. 이는 G20 국가 중 호주(59kg), 미국(53kg)에 이어 3위에 이르는 양이다.
국가 전체 기준 한국은 230만 톤의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을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일회용품 사용이 더욱 증가하는 가운데, 화이트 바이오산업을 적극 육성해 EU 및 주요국의 환경규제 강화에도 대응해야 한다고 전경련 측은 주장했다.
시장조사업체 어드로이트 마켓리서치(Adroit Market Research)에 의하면, 세계 화이트 바이오산업 시장은 연평균 10.1% 성장해 2019년 2천378억 달러(약 281조 원)에서 2028년 약 5천609억 달러(약 662조 원) 규모까지 커질 전망이다. 이는 올해 세계 반도체 예상 매출액 규모인 5천509억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그러나 전경련 측은 우리나라의 상황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판단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2020년 기술 수준 평가’에 따르면 ‘친환경 바이오 소재’, ‘바이오 및 폐자원 에너지화’ 등 화이트 바이오산업의 핵심 기술 경쟁력은 미국 대비 각각 3년, 4년의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이트 바이오 기술 관련 특허 및 논문의 피인용 건수로 산출한 영향력 지수도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2014~2019년 우리나라의 화이트 바이오 기술 논문 영향력(7.9)은 EU(10.3), 미국(10.2)에 비해 낮았다.
전경련 관계자는 ‘주요국들은 친환경 및 ESG를 중시하는 세계적인 트렌드에 맞춰 정부 차원에서 화이트 바이오산업 육성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며 ‘한국은 화이트 바이오 기술 수준이 취약하고 R&D 불확실성이 높아 정부의 정책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