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강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최근 발표한 ‘중국의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탄소 배출량은 세계 배출량의 32.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국 정부는 탄소중립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정책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2030년 이전 탄소 배출 정점, 2060년 이전 탄소중립 달성’이라는 목표를 내세웠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구축한 ‘1+N’ 정책에서 ‘1’은 탄소 배출 정점 및 탄소중립 달성 업무 의견을, ‘N’은 2030년 이전 탄소배출 정점 행동방안과 업종별 정책 조치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중국은 탄소 배출이 많은 ▲에너지 ▲산업 ▲교통·운송 ▲건설 분야를 중심으로 탄소 배출 총량을 규제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산업 분야의 경우 산업구조 조정,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생산량 관리 등을 통해 탄소중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태양광, 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투자도 확대하고 있으나 지난해 10월 중국 전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력 대란의 부작용 발생에 따라 단기간 내 의미 있는 탈탄소 전환은 어려울 전망이다.
현재 중국의 전기 생산 및 전력망은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상황으로, 급격한 석탄화력발전 감축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또한 중국 내 철강, 비철금속, 석탄, 석유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생산량 통제가 본격화될 조짐이다. 이에 국내 건설, 조선산업은 물론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전기차, 배터리 소재 수입 기업들은 시장 다변화를 추구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KIEP 오종혁 전문연구원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중국 탄소중립 정책의 영향으로 환경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국내 기업은 탄소포집 기술, 수소 산업 등의 분야에서 협력 기회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