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탄소복합재 소형선박 개발, 중소조선업체 활력 찾나
임지원 기자|jnew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탄소복합재 소형선박 개발, 중소조선업체 활력 찾나

기사입력 2022-04-28 14:38:4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탄소복합재 소형선박 개발, 중소조선업체 활력 찾나

[산업일보]
정부가 전북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에서 탄소복합재를 적용, 제작한 소형선박 운항 실증에 착수했다.

사실 그동안 '어선구조기준' 내 탄소복합재(CFRP) 적용 기준이 없고, 소재 특성과 상관없이 일괄 두께기준을 적용하는 바람에 CFRP 선박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상용화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전라북도는 전북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에서 ‘탄소복합재 적용 제작 소형선박의 운항 실증’을 이달 29일 착수한다고 밝혔다.

탄소복합재를 적용해 제작한 실증 선박은 3t(다목적 운송), 7t(어업용), 9t(낚시배용) 등 3척이다. 어청도, 십이파동도, 연도, 위도 등 군산시 새만금 외수면 조업구역 155.6㎢에서 7개월간 약 2천 시간의 운항 실증과 실제 어민의 어획 활동을 통해 선박의 안전성을 검증한다.

탄소복합재를 적용해 제작한 선박은 기존 선박 대비 10% 이상의 경량화로 온실가스 저감과 연비 10%이상 향상된 친환경 어선이며, 기존 FRP(강화플라스틱) 선박 대비 약 2.5배 이상 강도가 높아져 선박사고 발생 시 어민들의 인명피해를 줄이는 등 안전성 강화가 예상된다.

CFRP(탄소강화플라스틱)를 적용해 기존 대비 20~30%가량 두께를 줄인 실증 선박의 운항 안전성이 검증되면 해수부와 협의를 통해 어선구조기준의 두께 기준을 변경하기로 했다.

현행 어선구조기준은 소재와 무관하게 일관된 두께 기준을 적용해, 탄소복합재와 같은 신소재를 사용해 두께 기준을 맞추는 경우 선박 가격 경쟁력이 낮아 사업화의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어선구조기준이 변경되면 탄소복합재 적용 선박의 가격 경쟁력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친환경 선박 보급 사업 등을 통해 침체되 있던 지역 중소 조선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북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는 가볍고 강도가 높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나 각종 규제로 인해 제품 개발 및 상용화가 어려운 탄소 소재 제품의 다양한 사업화를 목표로 2020년 7월 지정했다. 선박 이외에도 수소운송용기, 소방차 물탱크 분야에 탄소복합재 적용 제품의 제조 및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중기부 권혜린 규제자유특구단장은 “탄소소재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각종 규제로 사업화 어려움이 있는 탄소소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관련 부처와 규제 해소에 적극 나서겠으며, 소재 분야 중소기업들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IoT, 빅데이터 등 국내외 4차산업혁명 기술은 물론, 다양한 산업동향과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