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가 유럽 그린딜(Green Deal)을 발표하고 지속가능금융(Sustainable Finance)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 정책을 각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KDB미래전략연구소의 ‘EU의 지속가능금융 정책 추진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는 EU가 지속가능한 경제활동 이행을 촉진하고, 그린워싱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가능금융 프레임을 조성하고, 법적·제도적 기반을 구축 중이라고 밝혔다.
EU집행위원회는 지속가능금융을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를 고려하는 금융·투자 활동으로 정의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그린워싱(Green Washing) 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녹색 여부를 판단·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분류체계 및 투명한 공시제도가 필요해졌다.
이에 EU는 지속가능금융에 대한 3대 목표 및 10대 실행계획을 담은 ‘지속가능금융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녹색분류체계(EU Taxonomy) 수립 ▲지속가능금융 공시 규정 강화 ▲녹색채권 표준(EU GBS) 도입 ▲저탄소 벤치마크 의무 강화 등을 추진·진행 중이다.
보고서는 EU가 ESG 투자와 ESG 규제 기준 정립을 통해 국제사회 주도권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EU의 ESG 규정이 글로벌 스탠다드를 선점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에 국내 기업도 준수 의무를 부담할 수 있고, EU 시장이나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 조달을 받기 위해서는 투자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지속가능성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등 직·간접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국 정부가 다각화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관련 사업을 육성하고 있기 때문에 ESG에 대한 국제적인 흐름이 국내 기업에도 장기적 수익 향상 및 경쟁력 강화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EU 등 선진국의 지속가능성 및 ESG 정책 동향과 주요 글로벌 이니셔티브 등을 모니터링하면서 글로벌 표준이 확립되는 과정을 주시하고 신속히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