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돌봄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 마련됐다.
3일 서울시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스마트돌봄 혁신포럼’이 국민의힘 김성원, 최영희 국회의원 공동 주최, (사)스마트돌봄융복합협회 주관으로 개최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은 2040년 34.4%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독거노인, 의료수요 증가 등의 부작용을 낳는다.
김성원 의원은 개회사에서 “마음으로 하는 돌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화, 스마트화 시키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며 “관련 정책을 국회에서 입법을 통해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영희 의원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은 디지털 기기를 통한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웠다”면서 “스마트돌봄은 건강관리만이 아니라 디지털 헬스케어의 확산을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이를 위해 발전을 저해하는 규제를 타파하고, 스마트돌봄 산업이 한국에 정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날 ‘노인복지정책의 과제와 스마트돌봄 추진 현황’ 기조강연을 맡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노인정책과 이윤신 과장은 2025년부터 한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며, 노인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노인복지 관련 수요가 증가하고, 돌봄 필요도가 높은 취약노인의 비중이 증가함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베이비부머 세대를 기점으로 노년층의 구성과 복지욕구가 다양화하고 있어, 취약노인 중심의 기존 노인복지정책의 질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이에 기존의 노인복지 정책은 취약노인을 중심으로 진행됐지만, 앞으로는 노인들의 주체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스마트돌봄으로의 정책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윤신 과장은 “노인 스스로 ‘나는 건강하고, 더 일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돌봄과 관련된 여러 정책을 펼 수 있는 여건 마련이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올해 추진 중인 주요 과제에 대해 소개했다.
복지부는 ▲화재, 고독사 등 안전사고 대응 ▲독거노인 외로움 등 정서 지원 ▲건강관리 장비 ▲치매노인 배회 시 위치 추적 등을 스마트돌봄 서비스의 주요 정책으로 추진 중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노인건강관리, 돌봄 서비스 및 R&D 확대 및 강화에 초점을 맞춰 스마트기술 서비스 고도화와 고령 친화 우수제품 활성화를 적극 지원할 방침을 밝혔다.
한편, 스마트돌봄융복합협회 양승희 회장은 “디지털 기술과 휴머니즘은 항상 조화를 이뤄야 한다”면서 “최첨단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돌봄을 수행할 인력양성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