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지난해 말 중국 정부의 방역정책 완화 이후 경제활동이 재개됐다. 이 같은 중국 리오프닝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기업들의 반응은 기대와 우려가 섞여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440개 수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0.8%는 ‘중국 리오프닝이 한국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기업의 매출, 수익 등 경영실적 차원에서 ‘긍정적 효과’를 예상한 기업은 38.2%에 그쳤다. ‘경영실적에 영향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54.4%로 조사돼 중국경제의 낙수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리오프닝이 경영실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 기업들은 가장 크게 기대되는 부분으로 ‘중국으로의 수출물량 증가’(56.0%)와 ‘중국산 부품소재 조달의 공급망 안정’(24.2%)을 꼽았다. ‘물류차질 완화’(9.9%), ‘중국진출기업 가동 정상화’(8.8%) 등의 답변이 뒤따랐다.
경영실적에 영향이 없거나 부정적 효과를 예상한 기업들은 ‘대중국 수출 증대효과가 크지 않을 것’(54.7%)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원자재·에너지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한 기업도 34.1%였다. 실제로 중국 내에서도 소비가 기대만큼 살아나지 않는 등 리오프닝 효과가 아직 미미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에 반해 생산활동 정상화로 원자재 수요가 늘면서 원자재 가격도 출렁이고 있다. 구리 가격이 지난해 7월 연 저점 대비 23% 상승했고, 철광석 역시 저점을 기록한 지난해 11월 대비 50% 가까이 상승한 것이다.
수출 증대효과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물가에 상방압력을 줄 수 있는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기업들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중국경제가 코로나 봉쇄에서 벗어나 정상화되고 있지만 대중국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는 기업은 많지 않았다. 응답기업의 72.7%는 대중국 사업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답했고,‘늘려갈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8.0%, ‘점차 줄여갈 계획’이라는 기업도 9.3%였다.
중국 리오프닝을 한국 기업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중 관계 개선(32.0%) ▲미·중 갈등과 같은 대중국사업 불확실성 해소(30.6%) ▲수출증대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개(15.1%) ▲중국진출 우리기업에 대한 애로 해소(11.0%) ▲중국내 무역장벽·기술규제 완화(10.1%)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