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청년층의 중소기업 인력 비중이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제조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특히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IBK경제연구소가 제조 중소기업 인역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한 ‘중소기업 인력난 현황 및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제조 중소기업의 39세 이하 인력비중은 2021년 28.2%로, 코로나19이전인 2019년 32.0%에 비해 하락했다.
전체 경제활동인구는 2019년 대비 2022년 2.6% 증가했으나, 39세 이하는 수도권이 05% 증가한 반면 광역/특별자치시도 및 지방 소도시는 각각 6.2%, 9.2% 줄어 수도권으로의 지방 청년층 인력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보고서는 설문 결과 심각한 제조업 중소기업의 인력난과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전반적으로, 구직자들의 생산직 기피로 생산 차질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은 외국 인력 또는 설비 자동화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들은 인력난 해소를 위해 임금/복지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기업간의 응답 차이가 났다. 인력난에 “외국인 인력 활용”으로 대응한다는 대답은 비수도권 50% 이상, 수도권 34.4%의 비율이었는데, “임금/복지수준 개선 노력하고 있다”라고 응답한 기업은 수도권 41.7%, 비수도권은 광역시 30.3%, 그 외 시도 20.9%로 반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인력난이 해소되지 않는 근본 원인으로는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임금/복지 수준 개선 등 자구 노력 미흡"을 가장 많이 꼽았다. 비수도권 기업들은 “실효성 없는 정부 정책”때문이라는 응답에도 다수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지방 소도시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부정적 응답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IBK경제연구소 이관영 과장은 본지와의 전화 통화에서 “인력난 해소를 위해 실효성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라며 “정부의 여러 정책 포함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