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다음이 뉴스검색 서비스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콘텐츠 제휴사(CP)로 변경하면서, 언론단체들이 일제히 항의 성명을 내며 반발하고 있다.

최근 뉴스 검색 노출에서 배제된 인터넷 매체와 지역언론 등의 항의와 반발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잡지협회도 19알 즉각적인 항의 성명을 내고 포털 다음의 뉴스서비스 차별행위를 중단할 것을 강력 요청했다.
한국잡지협회(회장 백종운, 이하 잡지협회)에 따르면, 그동안 잡지사들은 포털 다음의 불합리한 조치에 개별적으로 이의를 제기해 왔으나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으며, 콘텐츠 제휴사(CP)가 아닌 검색제휴사의 트래픽이 0에 수렴하고 있는 등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
오히려 소규모 언론에 대한 포털의 차별과 배제 조치가 더 심해질 거라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잡지협회는 포털뉴스정책개선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협회 차원에서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잡지협회는‘일부 CP(콘텐츠 파트너 제휴사)에만 국한된 다음의 뉴스검색 기본값으로 인해 공정한 뉴스 공론장이 실종되고, 여론의 다양성이 축소·왜곡되는 현상이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에 적극 공감한다고 말했다.
또한 ‘다음의 뉴스검색 정책 변경은 잡지 언론계의 입지를 더욱 좁아지게 만들어 가뜩이나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잡지언론을 위기로 내모는 행위’라며 반발했다.
특히,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심도 있는 전문 콘텐츠를 생산하는 잡지 매체의 특성을 무시하고 잡지 기사를 가짜뉴스 내지 값싼 콘텐츠처럼 취급하는 포털의 차별과 배제의 조치에 참을 수 없는 분노를 느낀다며 강경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잡지협회는 성명서에서 포털뉴스는 자신의 입맛에 맞게 마음대로 할 수 있는 포털의 전유물이 아니라고 전제하고 포털은 콘텐츠를 생산 및 공급하는 언론매체를 상생관계의 협력 파트너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많은 국민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상황에서 포털뉴스는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만큼 사회적 책임도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사실을 도외시한 채 다양성을 활성화시켜야 할 사회적 공기 포털이 소수 전문 언론을 배제하는 행위는 일방적 불공정 행위에 해당한다며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

백종운 잡지협회장은 "공정한 뉴스 공론장은 사라지고 대신 왜곡되는 현상만 양산할 것"이라면서 "전문 콘텐츠를 생산하는 잡지언론에 대한 차별과 배제조치를 철회할 것"을 강력하게 전했다.
한편, 건전한 잡지 언론 창달과 민족문화의 올바른 전승을 목표로 1962년 설립해 한국 잡지계와 전문언론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한국잡지협회는 이에 앞서, '포털뉴스정책개선특별위원회 1차 회의'를 지난 7일 협회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