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양돈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타깃으로 ‘AI(인공지능) 돼지 임신 판정’ 기술을 개발했다.
국립축산과학원(이하 축산원) 임기순 원장은 7일 농림축산식품부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술 개발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임 원장은 “오늘 발표하는 AI 활용 돼지 임신 판정 기술은 축산 스마트팜 기술 확산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이라며 “양돈농가에서 적기에 임신 여부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으로, 비전문가도 숙련자 수준으로 임신을 확인할 수 있게 돕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돼지 임신 여부는 인공수정 후 21일령부터 행동을 관찰하고, 25일령부터 자궁 초음파 영상을 판독해 태낭을 확인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영상 판독은 관리자 숙련도에 따라 시기와 정확도가 크게 좌우되며 비전문가는 28일령 이후에나 임신 여부를 판독할 수 있어 적기를 놓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축산원은 20만 점 이상의 5MHz급 고화질 자궁 초음파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학습을 수행한 AI 모델을 제작했다. 또한, 양돈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3MHz급 저화질 영상 23만 점을 수집해 영상 개선 기술을 적용한 뒤 AI모델에 추가 학습시켜 농가 보급형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축산원이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음파 장비로 10초 이상 촬영한 복부 초음파 영상을 분석해 임신 여부를 판정해 낸다. 22일~25일령 기준으로 95% 이상의 정확도를 보인다. 이를 통해 기존보다 소요 시간이 줄고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어 양돈농가의 업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축산원은 개발 기술과 관련해 ‘돼지 임신 진단을 위한 딥러닝 모델의 트레이닝 장치’를 비롯한 3건의 특허를 출원했고, 희망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임기순 원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임신 판정 시기를 앞당겨 돼지의 건강관리를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고, 사육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라며 “축산원은 향후 AI 모델을 고도화해 21일령 이전에 95% 이상의 판정 정확도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축산원은 ▲어미 돼지 체형관리 자동화 ▲아기 돼지 폐사 위험 감지 AI 모델 등 다양한 AI 기반 축산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라며 “기술 개발을 통해 생산성은 높이고 생산비는 낮춰 우리 양돈농가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