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챗지피티와 딥시크가 여는 大 AI시대, 기회는 어디에 있나?
김진성 기자|weekendk@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챗지피티와 딥시크가 여는 大 AI시대, 기회는 어디에 있나?

SK텔레콤 이영탁 부사장 “AI가치사슬 전반의 경쟁력 지원하는 정책 필요”

기사입력 2025-02-17 16:30:5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챗지피티와 딥시크가 여는 大 AI시대, 기회는 어디에 있나?
SK텔레콤 이영탁 부사장


[산업일보]
챗지피티(Chat GPT)와 딥시크(Deep Seek) 등 생성형 AI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제조현장에서 AI를 활용하는 분야와 빈도 역시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AI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SK텔레콤 이영탁 부사장은 17일 국회에서 열린 ‘미래의 빅테크 기업을 찾는다-1차 AI산업’의 발제자로 참가해 최근 AI산업의 동향과 한국의 기업들이 지향해야 할 지점을 제시했다.

‘AI시대 기업경쟁력 강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이 부사장은 “스마트폰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했듯, AI-native스타트업 등 새로운 플레이어가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언급한 뒤 “이를 위해서는 건강한 AI생태계가 조성돼야 경쟁력 있는 기업이 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사장의 설명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AI시대에 대비해 ICT 인프라와 반도체(메모리), 높은 교육열, 기술 수용성 등 AI시대에 적합한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AI인프라와 AI모델, AI서비스 등 AI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에서 글로벌 기업에 비해 열세이고 핵심 역량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 부사장은 “AI인프라, 모델, 서비스 등 생태계 각 분야의 강점을 살리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자강’과 ‘협력’이 이뤄져야 건강한 산업생태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AI분야를 둘러싼 주요 국가들의 움직임에 대해 이 부사장은 “미국은 트럼프 정부의 출범과 함께 스타게이트 P/J를 확대 발표해 AI패권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의 견제에도 딥시크(DeepSeek) 등 최상위 모델에 필적하는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말한 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대응해 프랑스나 일본 등도 자립 생태계 구축을 위한 AI지원 정책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AI정책에 대해 이 부사장은 “경쟁력 있는 AI산업생태계를 기반으로 기업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이 부사장은 “AI 자립 생태계 구축은 국가의 안보 및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언급한 뒤 “미국의 빅테크기업과 견주어볼 때 발생하는 자본력의 한계를 중국처럼 기술력으로 돌파하거나 일본‧프랑스처럼 버티컬 시장을 창출하는 사례가 등장하는 만큼 우리나라는 우리의 강점에 더해 AI 가치사슬 전반의 경쟁력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