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챗지피티(Chat GPT)와 딥시크(Deep Seek) 등 생성형 AI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제조현장에서 AI를 활용하는 분야와 빈도 역시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AI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SK텔레콤 이영탁 부사장은 17일 국회에서 열린 ‘미래의 빅테크 기업을 찾는다-1차 AI산업’의 발제자로 참가해 최근 AI산업의 동향과 한국의 기업들이 지향해야 할 지점을 제시했다.
‘AI시대 기업경쟁력 강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이 부사장은 “스마트폰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했듯, AI-native스타트업 등 새로운 플레이어가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언급한 뒤 “이를 위해서는 건강한 AI생태계가 조성돼야 경쟁력 있는 기업이 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사장의 설명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AI시대에 대비해 ICT 인프라와 반도체(메모리), 높은 교육열, 기술 수용성 등 AI시대에 적합한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AI인프라와 AI모델, AI서비스 등 AI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에서 글로벌 기업에 비해 열세이고 핵심 역량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 부사장은 “AI인프라, 모델, 서비스 등 생태계 각 분야의 강점을 살리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자강’과 ‘협력’이 이뤄져야 건강한 산업생태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AI분야를 둘러싼 주요 국가들의 움직임에 대해 이 부사장은 “미국은 트럼프 정부의 출범과 함께 스타게이트 P/J를 확대 발표해 AI패권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의 견제에도 딥시크(DeepSeek) 등 최상위 모델에 필적하는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말한 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대응해 프랑스나 일본 등도 자립 생태계 구축을 위한 AI지원 정책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AI정책에 대해 이 부사장은 “경쟁력 있는 AI산업생태계를 기반으로 기업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이 부사장은 “AI 자립 생태계 구축은 국가의 안보 및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언급한 뒤 “미국의 빅테크기업과 견주어볼 때 발생하는 자본력의 한계를 중국처럼 기술력으로 돌파하거나 일본‧프랑스처럼 버티컬 시장을 창출하는 사례가 등장하는 만큼 우리나라는 우리의 강점에 더해 AI 가치사슬 전반의 경쟁력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