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2024년 말 기준 우리나라 국토 면적이 전년보다 1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약 3.6배에 해당하며, 지속적인 토지개발 사업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국토교통부는 4월 1일 '2025년 지적통계'를 공표키로 하고,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전국 국토면적이 100,459.9㎢(3천975만 필지)로 집계됐다고 31일 밝혔다. 지적통계는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 정보를 바탕으로 매년 발표되는 국가승인통계로, 토지·임야대장에 기초해 행정구역과 지목, 소유 형태별 면적을 종합한다.
이번 면적 증가는 인천 경제자유구역 공유수면 매립, 전남 남악 오룡지구 택지개발 등 각종 개발 사업이 반영된 결과다.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면적이 큰 지역은 경상북도(1만8천428.1㎢), 강원특별자치도(1만6천830.8㎢), 전라남도(1만2천363.1㎢) 순이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465.0㎢), 광주광역시(501.0㎢), 대전광역시(539.8㎢)는 가장 좁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용도별 변화에서는 생활 기반 시설(대지·학교용지) 면적이 507.5㎢ 늘었고, 산업 기반 시설(공장·창고) 276.7㎢, 교통 기반 시설(도로·철도 등) 434.9㎢, 휴양·여가 시설(공원·체육시설 등) 254.1㎢가 각각 확대됐다. 반면 산림·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는 총 1천630.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기반 시설 중에서는 집합건물용 대지가 206.4㎢, 학교용지 16.1㎢, 단독주택 및 기타 대지가 285㎢ 증가했다. 국토부는 이러한 변화가 도시 집중 현상과 주거 방식의 다변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지목별로는 전체 면적 중 임야가 6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답(10.8%), 전(7.4%)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과 농경지를 합친 면적은 전체의 약 81.3%를 구성했다. 10년간 변화 추이를 보면, 임야는 1.2%, 전은 3.4%, 답은 5.4%씩 줄어든 반면, 대지는 16.8%, 도로는 13.1% 각각 증가했다.
소유 형태로 보면, 개인 소유 토지가 49.6%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국유지(25.6%), 법인 소유(7.6%)가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국유지는 3.6%, 도·군유지는 9.1%, 법인 토지는 13.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법인이 보유한 공장용지와 대지는 각각 176㎢, 112㎢ 증가했으며, 임야와 농지 역시 각각 186㎢, 91㎢ 확대돼 사업용 토지 확보가 꾸준히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국토교통부 유상철 공간정보제도과장은 '지적통계는 국토 면적과 이용 현황의 변화를 수치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며 '토지 정책 수립과 학술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전자파일 형태(PDF)의 전문을 포함해 전국 280여 개 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