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6월 3일로 예정된 조기대선이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 경제의 기반을 다지고 있는 중소벤처기업들이 새로 출범할 정부를 대상으로 지원 정책의 강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와 기업가정신학회, 한국벤처창업학회는 2일 국회에서 ‘글로벌 AI제조강국을 위한 새정부 중소벤처 정책과제’라는 주제의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학문적 관점에서 지역거점별 신산업 AI 제조혁신 공급망 구축, 신산업 육성 전략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이라는 정책 전략을 논의하는 동시에 첨단산업 초거대 스타트업 육성,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기술사업화와 같은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열렸다.
발제자로 나선 GIP 전략연구소 정종석 소장은 ‘지역거점별 신산업 AI제조혁신 공급망 구축’이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제력 및 혁신역량 격차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해서는 AI를 활용한 지역 주력산업 고도화와 제조혁신을 본격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정 소장은 “지역별 산업 DNA와 인력, 인프라, 중소기업을 기반으로 한 AI융합형 제조업 혁신이 국가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전력이 될 것”이라며 “AI기술과 10대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융합한 혁신 제조 생태계 구축, 비수도권 3만개 중소벤처기업 집중 육성, 10조 원 이상의 범부처 자원 투입 등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한다”고 강조했다.
정 소장의 발표에 따르면, 먼제 60개 지역의 주력산업을 재분석해 10대 핵심 중점분야를 선정하고, 5년간 2조5천억 원 규모의 전용 특화 프로젝트를 통해 집중 지원하는 한편, 4년 주기로 지역 주력산업을 재설계해 지역별 앵커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제조업 르네상스를 견인해야 한다.
아울러, AI에 특화된 기술개발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SaaS 기반의 스마트공장 1만 개 구축, AI로봇‧에이전트 2만 개 보급 등을 통해 지역 제조혁신을 본격화 하고, 이를 위해 제조AI센터를 2030년까지 14개 소로 확충해 지역별 AI혁신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 소장은 “제조AI계약학과 설치와 연구인력 혁신센터 확대, 재직자 및 CEO대상 AI교육 강화, AI전문인력 장기재직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한 AI 기반의 인재양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정 소장은 “지역별 테크노파크의 기능을 법적으로 강화하고 광역권 복지타운 조성, 지역정책 연구기능 확대를 통해 지역 차원의 혁신성장 인프라 확대 등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