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기업들의 저탄소 전환과 ESG 경영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정책 금융의 연계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녹색기술금융센터 윤형덕 센터장은 지난 8월 27일부터 29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orld Climate Industry EXPO) 특별 세션 ‘탄소중립 엑스포’(NET ZERO EXPO 2025)에서 ‘녹색평가 및 녹색전환보증 제도’에 대해 소개했다.
윤 센터장은 과거 녹색산업 인증 제도의 불명확성을 지적하며, “유럽연합(EU)와 한국 모두 ‘녹색분류체계(K-Taxonomy)’를 기반으로 경제활동의 녹색 여부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체계는 기업이 수행하는 경제활동이 얼마나 환경친화적인지 평가하고, 이에 맞춘 금융 지원의 기준이 된다. 특히 기업들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경제활동을 검색하고 세부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녹색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기술보증기금은 해당 평가를 기반으로 ‘녹색전환보증 제도’를 운영 중이다. 윤 센터장은 “기업이 새로운 공정·설비·기술에 투자할 때 금융권에서 자금을 원활히 조달하도록 지원하는 장치”라며, 전환 단계에 있는 기업까지 보증 대상에 포함돼 투자 리스크를 완화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센터장은 ESG 경영과 정책 금융의 연계를 강조하며, “단순히 기업 개별 노력이 아닌 제도적 지원이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녹색평가와 보증 제도는 단순 금융 지원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 전략 수립과 실행을 촉진하는 전략적 도구라는 설명이다.
윤 센터장은 “녹색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제도 개선을 지속하겠다”며, “금융과 산업의 연결 고리를 강화해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