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생성형 AI, 콘텐츠 산업 제작·체험 방식 혁신…지휘자 필요해”
임지원 기자|jnew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생성형 AI, 콘텐츠 산업 제작·체험 방식 혁신…지휘자 필요해”

구글 딥마인드 피터 대넨버그 엔지니어, ‘2025 스타트업콘’서 전략 제시

기사입력 2025-09-25 19:17:3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생성형 AI, 콘텐츠 산업 제작·체험 방식 혁신…지휘자 필요해”
피터 대넨버그 구글 딥마인드 시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2025 스타트업콘(Startup:CON)’에서 '콘텐츠 개인화 시대, 합성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차별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한 뒤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산업일보]
생성형 AI는 콘텐츠 산업에서 제작과 사용자 경험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아이디어 단계에서 게임 캐릭터, 세계관, 사운드트랙까지 AI를 활용해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어, 창작 과정의 속도와 유연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피터 대넨버그 구글 딥마인드 시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25일 서울 성수동 피치스 도원(스위트스팟 스테이지 성수)에서 열린 ‘2025 스타트업콘(Startup:CON)’에서 ‘콘셉트에서 콘솔까지(Concept to Console)’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아이디어가 생기면 문서를 작성하지 않고 바로 생성형 AI를 통해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넨버그 엔지니어는 AI를 활용한 게임 제작 과정을 소개했다. 그는 “캐릭터 시트를 생성하고, 세계관을 설명하면 AI가 이를 기반으로 게임 엔진에서 플레이 가능한 모델을 만들 수 있다”며 “사운드트랙 역시 사용자 요구에 맞춰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생성형 AI, 콘텐츠 산업 제작·체험 방식 혁신…지휘자 필요해”

그러면서도 이 모든 요소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의 부재를 지적했다. 그는 “게임 제작을 위해 여러 개의 AI 코파일럿이 캐릭터, 배경, 음악, 코드 등을 생성하는데 이를 직접 관리하고 조합하는 일은 만만치 않다”라며 “이 과정을 자동으로 조율해주는 오케스트레이터를 만들 수 있다면, 앞으로 6~12개월 안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넨버그 엔지니어는 게임 내 음악과 경험의 적응형 콘텐츠에 대한 질문에 “콘텐츠가 무한히 적응 가능하다고 해도, 게임의 핵심 아이디어와 세계관은 일정 정도 제약이 있어야 흥미를 유지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는 “NPC나 환경이 실시간으로 반응하도록 만들 수 있지만, 스토리와 연속성은 인간 설계자가 조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간 창의성과 AI의 공동 진화(co-evolution)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AI가 이를 확장하며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으면, 단순히 시작한 아이디어보다 더 풍부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과 아시아 시장의 콘텐츠 현지화 전략에 대해서는 “구글은 다국어 지원을 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로컬 데이터의 확보가 중요하다”며 “아직 서구 데이터 편향이 존재하지만, 이를 점차 개선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IoT, 빅데이터 등 국내외 4차산업혁명 기술은 물론, 다양한 산업동향과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