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보다 소폭 내려가
식량가격지수 전월보다 1% 높은 213point 기록
10월 식량가격지수(213point)가 전월보다 1% 하락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10월의 식량가격지수가 전월(215point) 보다 1% 낮은 213 point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유제품 및 설탕 가격이 전월 보다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곡물 및 유지류 가격이 각각 1.2%, 8%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1~10월 평균 식량가격지수(212point)는 전년 동기(230point) 대비 8%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FAO 식량가격지수는 1990년 이후 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 등 55개 주요 농산물의 국제가격동향을 모니터해 매월 작성·발표(2002-2004년 평균=100)된다.
품목별 가격지수를 살펴보면 곡물은 9월(263point)보다 1.2% 하락한 259 point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2% 높은 수치이나,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8년 4월(274point) 보다 5.4% 낮은 수치다. 밀 가격은 교역량 감소로 인해, 옥수수 가격은 축산업 및 일반 산업 분야의 수요 감소로 인해 각각 하락했다. 반면, 쌀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했다.
유지류는 9월(225point) 보다 8% 하락한 206point를 기록했으며, 이는 최근 2년간 가장 낮은 수치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대량 생산이 지속되고 있는 팜유가 국제적인 수요 약세와 맞물려 유지류 가격 하락을 주도했다. 또한, 대두유, 유채씨유, 해바라기씨유의 수출 가능 물량 증가 및 국제 소비 증가세 둔화가 유지류 가격 안정에 기여했다.
육류는 9월(174point)과 동일한 수치로, 수입 수요 부진이 사료 가격 상승을 상쇄시키면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금년 1~10월까지 육류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유제품은 9월(188point) 보다 3% 상승한 194point를 기록했다. 공급량 및 재고량의 일시적인 부족, 수입 수요의 지속적인 강세로 인해 모든 유제품 가격이 상승했다. 특히, 탈지분유 및 카제인은 각 2.3%, 전지분유는 3.3%, 치즈는 4% 가격이 올라갔다. 그러나, 올해 1~10월 유제품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크게 하락했다.
설탕은 9월(284 point) 보다 1.6% 상승한 288point를 기록했으나, 이는 전년 동월(361 point) 대비 20.2% 낮은 수치로, 이번 소폭 상승의 주요 원인은 세계 최대 수출국인 브라질의 단기적인 수출량 감소에 따른 것이다.
2012/13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은 2012/13년도 세계 곡물생산량은 전월 대비 0.1%(2백만톤) 감소한 2,284백만 톤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7%(64백만톤) 낮은 수치다.
미국, 유럽 및 중앙아시아의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밀과 잡곡의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곡물 재고량이 많이 감소했다. 반면, 쌀 공급량은 충분하여 재고량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견됐다.
2012/13년도 세계 곡물소비량은 2,314백만 톤(전월 대비 0.5백만 톤 감소)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0.6%(13백만 톤) 감소한 수치다.
밀 소비량은 사료용 소비 감소 예상에 따라 688백만 톤(2011/12년도 대비 1.4% 감소), 잡곡 소비량은 미국의 옥수수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 수요 감소 예상에 따라 1,152백만톤(2011/12년도 대비 0.8% 감소)으로 각각 전망됐다. 반면 쌀 소비량은 475백만 톤으로 2011/12년도 대비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2012/13년도 세계 곡물 기말재고량은 기초재고량 대비 4.8%(25백만톤) 감소한 497백만톤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