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日, 인력쟁탈전 ‘구인난 22년만에 최대’
박지우 기자|churro@daara.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日, 인력쟁탈전 ‘구인난 22년만에 최대’

기사입력 2014-08-04 03:32:1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日, 인력쟁탈전 ‘구인난 22년만에 최대’
인력부족으로 우려되는 사항(복수응답)<자료='고용상황에 관한 긴급조사 결과'오사카상공회의소>


[산업일보]
일본 인력 수급 상황이 1992년 이후 가장 심각하다. 대다수 기업들은 비용 부담을 이유로 비정규직 채용에 급급하지만 일부는 일당백의 숙련 인력 양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 http://itt.kita.net)이 28일 발간한 「일본 저출산 재앙이 인력부족으로 현실화, 기업의 대응책은?」에 따르면 일본의 금년 5월 실업률은 3.5%로 자연실업률 수준이고, 유효구인배율(=구인자 수/구직자 수)은 1.09배로 7개월째 1.0배를 상회하고 있다.

인력 부족의 근본적 원인은 1990년대부터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이다. 생산가능인구(14세~65세)는 1995년 8,726만명(총인구의 69.5%)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2013년 7,900만명(62.0%)으로 처음으로 8천만명선이 무너졌다.
다만, 20년간 장기불황 탓에 드러나지 않다가, 최근 경기 회복으로 기업들의 인력 수요가 늘면서 인력 부족 문제는 곳곳에서 표출되고 있다. 오사카 소재 기업들 중 이미 인력 부족으로 사업에 차질이 발생했거나 향후 피해가 예상된다는 기업이 90%를 넘는다.

인력 부족 문제가 향후 인력쟁탈전으로 심화될 것을 예상한 기업들은 경쟁적으로 비정규직을 채용, 인건비 부담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유니클로, 세이유(西友) 등 일부 도소매 기업들은 접객 경험이 풍부한 비정규직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있다. QB하우스(이미용), 오바야시구미(大林組/건설), 카오오(花王/화학플랜트) 등은 입사 5년 미만의 젊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이들은 인력 부족에 단기적으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근로자의 장기근속 토대를 마련하고,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함으로써 숙련 인력을 양성한다는 전략이다.

국제무역연구원 박기임 수석연구원은 “한국 역시 저출산 고령화 심화로 머지않아 인력 부족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는 향후 10년 이내 산업 현장에서의 숙련단절을 막기 위한 중소기업 기능전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