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한국, 정보보호 분야 국제표준화 주도
박지우 기자|churro@daara.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한국, 정보보호 분야 국제표준화 주도

웹 기반 공격 대응 기술 등 국제 표준 다수 채택

기사입력 2014-10-18 02:49:0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한국, 정보보호 분야 국제표준화 주도



[산업일보]
한국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중요소 인증 메커니즘 등 4건의 표준안 승인과 관련,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최영진)은 2014년 9월 26일에 끝난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연구반 17(정보보호) 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개발된 '웹기반 공격 예방기술' 등 2건이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approval) 됐다고 밝혔다.

'웹 기반 공격 예방 기술'은 사용자가 단순히 웹 사이트에 방문만 해도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웹 기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표준으로 웹 기반 공격 대응 시스템이 가져야 할 세부 기술과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며, 웹 공격 대응 시스템 설계와 운영 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 앱 배포 프레임워크 부속서'는 스마트폰을 위한 안전한 앱 배포 프레임워크에 대한 국제표준으로, 앱 배포 사이트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가능하다.

아울러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중요소 인증 메커니즘'등, 4건의 표준안이 승인준비과정(consent)으로 채택돼, 차기 회의(2015. 4.)에서 표준으로 승인될 예정이다.

이번 성과를 통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내 정보보호 표준화 활동에서 우리나라의 입지를 다시 한 번 확인했으며, 앞으로도 정보보호 표준화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