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예능방송에서 '헬리캠'으로 널리 알려졌고, 주로 영화나 드라마, 방송용 장비나 군사용으로만 인식해 왔던 드론이 휴대성과 신속성, 안정성과 경제적 매력때문에 최근 급성장하고 있다.
실시간 정찰이나 재난구조, 건설현장, 환경 감시는 물론 범인 추적, 문화재시설관리까지 그 활용도를 높여나가고 있다. 최근 대형물류 기업이 이같은 성장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향후 행보를 생각할 정도다. 실제로 산업현장 같은 곳에서는 대형공장 내 샘플이나 긴급히 전달할 물품을 배송할 경우 활용된다. 그만큼 소비시장이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일부 드론으로 인한 사고도 심심찮게 보도되고 있다. 법규정 미비와 안전사고 위험, 프라이버시, 테러 우려 등 부정적 문제점 보다는 향후 발전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형국이다.
오히려 드론산업 발전에 발목을 잡는 부정적 요소는 그와 관련된 연관산업 발전을 가져오고 있는실정이다.
가장 많은 지적을 받아온 사생활 침해문제의 경우 비행금지 구역을설정하거나 얼굴을 확인할 수 없도록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기업이, 추락으로 인한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에어백과 낙하산 같은 안전장치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위험하다고 생각된 부분들이 오히려 사업기회가 되면서 신시장이 형성된 셈이다.
드론에 있어서 필수 장비가 되버린 카메라 덕분에 고화질, 고성능 카메라 브랜드 기업들이 히트상품을 잇따라 내고 있다.
클라우드와 연관해 드론이 수집한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도 속속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BI인텔리전스 보고서를 인용해 세계 드론 시장규모가 오는 2023에 이르면 무려 117억6천만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 보도했다. 이 중 상업적 목적의 드론 시장비중을 12%까지 예측했다.
방산컨설팅 업체 틸그룹 역시 지난해 기준, 전 세계 드론시장 규모를 약 50억 달러로 추정했다. 오는 2020년에 드론 시장은 114억 달러를 육박, 지금의 두배 이상 될 것으로 점쳤다.
현재 해결해야할 드론의 과제는 '체공 시간'이다.
이 역시 고성능 배터리 제조기업들에겐 기회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한 기업은 아예 배터리를 배제하고 연료통을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기도 하다.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일정으로 킨텍스에서 열린 로보 유니버스 행사는 많은 드론 업체들이 참가해 산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드러냈다.
이날 만난 카스콤(Kascom)의 김명호 대리는 "드론산업은 간단하지 않다. 드론의 체공시간 연장과 비행성능 개선을 위해 부품기업들이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업,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특수센서 제조기업까지 다양하다"며 "연관기술이나 소프트웨어, 드론으로 인한 산업영역 확대와 여기서 파생되는 산업규모를 예상한다면 생태계 크기는 상당할 것"으로 전망했다.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카스콤은 산업용무인항공기를 개발 제작하고 있으며 항공촬영과 항공방제, 조종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 회사의 주력품목은AFOX-1A 무인 항공방제기다. 중형 농업 방제용 드론으로 현재 정부지원 농기계로 등록됐다.
상용화 규모면에서는 나름 덩치가 큰 업체다. 항공우주연구원과의 협업을 통해 경량화 실현과 체공시간을 연장하는 연구가 한창이다. 자가발전장치나 연료주입 형태로까지 진화될 것이라고 조심스러운 의견을 내비쳤다.
카스콤은 드론전문전시회 참가에 앞서 농기계 전시회를 통해 주목받았다. 당시 폭발적이었던 반응을 로보유니버스 행사장에 옮겨놓아 직접 시연해보였다.
울산에 적을 두고 있는 (주)유시스(Usis)는 현대중공업에 선박 항로 사전정찰 및 표적 추적감시용 X8 Type 제품을 납품했다. 주로 자동항공 촬영용 무인항공기(u-Drone)와 지상제어시스템(GCS), 조선·해양 및 플랜트 분야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산학 연구개발과제 컨소시엄을 통해 기술 안정화와 고도화를 일궈냈다.
이 회사 장비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해와 함께 사람의 실수로 일어날 수 있는 제조상 결함이나 휴먼에러로 인한 질식, 폭발과 같은 재해 예방 용도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드론에 Safety 기능을 탑재한 것이다.
유시스 정수교 연구원은 "LNG 운반선과 선박건조현장, 다양한 위험환경이 상존하고 있는 화학공장에서의 근로자 안전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큰 산업재해로 발전하지 않도록 산업재해 예방관련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드론산업이 성장할수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에 대한 수요도 커질것이고 관련 기업들이 드론쪽으로 눈을 돌리면서 수많은 도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드론은 우리 산업이나 라이프 사이클을 크게 한번 흔들어 놓을 가능성이 높다. 다양한 산업생태계 속에서 연관산업을 들여다본다면 기업들에게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이다. 드론 생태계는 단순 판매로만 얘기할 대상을 넘어 폭풍 성장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시각이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