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중동, 한국은 공격적인 비즈니스 구사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동, 한국은 공격적인 비즈니스 구사

한국 혁신적 기술·디자인 내구성은 인정

기사입력 2015-10-25 08:55:5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중동, 한국은 공격적인 비즈니스 구사

[산업일보]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는 한국제품 및 한국문화(한류)가 중동시장에서 어떤 이미지로 자리잡고 있는지를 파악해 우리 기업들의 중동진출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난 8월과 9월에 걸쳐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레이트연합(UAE)의 바이어, 공공기관, 한국방문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GCC 지역에서의 한국제품 및 한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 102명의 대부분이 한국제품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었으며(92.2%), 제품이 만족스러웠다는 평가가 압도적(95.7%)이었다. 만족스러웠던 이유로는 혁신적 기술, 디자인, 내구성 순이었다.

설문결과 중동에서의 한국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 ▲현지 진출 한국기업들의 대외인지도, ▲철저한 마감기일 준수 등의 경제·비즈니스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비교적 평등하고 ▲부정부패가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점이 긍정적 이미지를 주는 주요한 이유로 꼽혔다.

향후 한국기업이 진출하기에 유망한 분야로는 이미 현지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는 ▲전자기기 분야(62.7%)를 가장 먼저 꼽았으며, 최근 중동 여성 소비자들의 구매력 증가에 따른 현지 미용시장 성장에 따라 ▲미용·화장품 분야(25.5%)도 유망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지 한국문화 인지도에 대해서는 두 국가에서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에는 주 1회 이상 한류를 접한다는 답변이 전체의 70%였으나, UAE의 응답자들은 한국문화 컨텐츠를 거의 접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는 한류가 현지 젊은 층 중심으로는 어느 정도 퍼져있으나, 이번 설문대상인 성인 연령대에는 크게 어필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UAE는 중동시장의 허브로서 그 중요성이 큰 만큼 보다 적극적인 진출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한류 하면 떠오르는 컨텐츠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0.6%가 케이팝(K-Pop)이라고 답해 한류 컨텐츠 분야의 다변화 또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비즈니스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이 꼽은 한국기업들의 부정적인 측면은 ▲공격적인 비즈니스 문화, ▲부족한 소통능력(외국어 능력), ▲품질보다 납기일을 우선시하는 풍토 등이었다.

중동은 우리 기업들의 중요 시장 중 하나이다. 시기적으로 부침이 있긴 했으나, 전반적으로 견조한 수출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들어 중동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산업다변화 정책으로 전통적인 건설․에너지․자동차 등 對중동 수출품목 외에도 IT, e-러닝 등 첨단·서비스산업분야의 중동진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를 휩쓴 한류의 해외진출 또한 중동뿐 아니라 유럽 등 서구국가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분야도 케이팝․영화․드라마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장르를 넘어서서 관광․한국어․태권도․음식 등으로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무역협회 장석민 경제외교성과활용지원팀장은 “중동은 건설과 에너지 등 기존 교역의 틀을 넘어서 향후 한류 컨텐츠, 서비스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진출이 기대되는 중요한 시장”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기업의 對중동 마케팅과 한류의 현지진출전략 수립에 유관기관과 협력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