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ICT기술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한다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ICT기술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한다

보건복지부, 14일부터 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 시스템 운영

기사입력 2015-12-12 08:20:3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ICT기술로 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한다


[산업일보]
ICT 기술을 활용해 복지의 혜택에서 소외됐던 사람들을 발굴하고 지원책을 펼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취약계층 관련 정보들을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 소외계층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정보 시스템(‘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 시스템’)을 14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는 단전, 단수, 단가스, 건강보험료·연금보험료 체납, 의료비 과다 부담, 주거·고용 취약 대상자 등 총 12개 기관 24종의 정보를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지원하는 것으로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 각 기관 간 ‘소통’과 ‘협력’을 지향하는 정부 3.0의 패러다임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사회보장급여를 제공하는 국가기관과 지자체의 복지 대상자 발굴 의무와 개인정보 이용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구체적인 구현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이와 더불어, 각 기관과 실무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정보연계 항목을 확정하고, 지난달에 정보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이달 14일부터 동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관련 기관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해 통계적 분석을 통해 고위험 예측 가구를 선별하고, 이들에 대해 복지급여·서비스를 지원하는 과정을 정보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으로 운용·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복지부는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그간 개인정보 제약으로 지역사회에서 사각지대 대상자 발굴이 어려웠던 한계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위기 상황으로 전락하기 전에 대상자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지원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집중 관리되는 대상자 현황을 빅 데이터로 활용해 우리사회 취약계층을 더욱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적합한 지원 체계를 모색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