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단독 [김현지 기자의 아웃사이더] “묻지마 연구해야 한국 경제 산다”④
김현지 기자|press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단독 [김현지 기자의 아웃사이더] “묻지마 연구해야 한국 경제 산다”④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특임연구위원 조장희 이학박사 “내가 뇌를 모르는데 AI 알겠느냐”

기사입력 2016-02-22 09:00:0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김현지 기자의 아웃사이더] “묻지마 연구해야 한국 경제 산다”④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특임연구위원 조장희 이학박사는 “성과 없이도 묻지마 연구는 계속 돼야한다고 말했다”
[산업일보]
지난 ➂호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이 인간 두뇌의 구조가 아닌 자동화라는 뇌과학의 세계적인 전문가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특임연구위원 조장희 이학박사의 말에 문득 SF영화에서 감정을 느끼는 로봇을 본 기억이 났다. 기계와 사람의 차이는 감정이 핵심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조 이학박사에게 “AI 로봇이 감정이 없는데 이것을 자료화해서 버튼을 눌렀을 때 일정한 반응을 하게 만들 수는 있냐?”고 물었다.


감정=기억
“감정이라는 게 뭔지 알아요? 감정은 기억이에요. 옛날에 나쁜 사람에게 한 번 당한 것을 기억하죠? 그러면 이 비슷한 사람을 보면 기분이 나빠요. 감정이죠. Emotion is memory. 그 전의 나쁜 감정을 기억하고 있는 거예요. 기억이 없으면 감정이 없어요. 감정은 기억이죠. 맛있는 것 먹었던 것을 기억하면 다시 볼 때, 맛있을 것 같다는 감정을 느끼죠. 기억을 자꾸 되살리는 것입니다. 기억을 어디서 하냐면 여기가 기억하는 거예요(말하는 뇌 그림을 가리키며). 그래서 여기 뇌의 오른쪽 아래에 Emotion/Memory라고 쓰여 있죠? 사실 잘 몰라요. 그럴 것으로 추측하는 것이죠”

[김현지 기자의 아웃사이더] “묻지마 연구해야 한국 경제 산다”④
말하는 뇌(출처=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조 이학박사는 AI에 관한 기자 질문의 본질인 감정에 관해 “감정은 곧 기억”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아직은 추측일 뿐 아직 뇌를 다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뇌를 컴퓨터라고 생각하고 잘라봐야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아직 뇌가 어떤 모양인지 정확하게 알 수가 없어서다.

AI 보다 더 복잡한 인간의 ‘뇌’
“우리는 뇌가 어떻게 생겼는지 10% 밖에 못 봐요. 어떻게 생겼는지 뇌가 이럴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을 아트피셜 인텔리전트(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이라고 하죠”
조 이학박사의 말을 들어보니 우리가 뇌를 모르는데 로봇이 사람의 뇌처럼 한다는 게 불가능해 보였다. 이를 묻자 그는 바로 “불가능하죠. 아직 뇌를 다 알려면 시간이 걸려요. 컴퓨터를 봐요. 칼로 컴퓨터를 잘라서 속을 본다고 가정할 때,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라고 답했다.

죽은 것을 보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컴퓨터 역시 살아있을 때 봐야 의미가 있다. 그런데 불과 30년에서 40년 전까지 산 사람의 뇌를 볼 수 없었다. 미친 사람의 뇌를 잘라 봐도 왜 미쳤는지를 알 수 없었다. 그는 죽은 머리를 잘라봐야 소용없다고 말했다. “컴프레션 메커니즘(Compression Mechanism)이 돌아가고 있는데 죽은 머리는 잘라도 소용없습니다”

조 이학박사의 말에 의하면 살아있는 사람의 피가 흐르는 뇌를 보기 시작한 것은 30년에서 40년 정도밖에 안 됐다. CT에 이어 PeT가 나오고, MRI가 나오기 시작하면서부터 산사람의 뇌를 볼 수 있었는데도 아직 해상도가 떨어진다. 그는 “이렇게 섬세한 머리를 낮은 해상도로 보고 있으니까 엉터리”라면서 “그래도 안 본 것보다 낫다”고 말을 이었다.

[김현지 기자의 아웃사이더] “묻지마 연구해야 한국 경제 산다”④

몇십 년은 연구해야 뇌를 더 알 수 있을 것
“그런데 점점 좋아지기 시작하면서 우리가 조금씩 더 알기 시작했지, 지금도 아주 초기예요. 그래도 이런 뇌에 관한 연구가 이어져야 산업과도 연관될 수 있어요”

그는 말을 이으면서 20일 건국대학교에서 제3의 뇌를 주제로 강의한 귀한 자료를 기자에게 보여줬다. 그리고 마치 우주처럼 보이는 이 그림은 뇌라고 설명했다. “우주를 우리가 전부 모르듯이 뇌도 모르는 것이에요. 모르는 게 너무 많아요”

뇌를 보자 문득 미국의 버락 오바마(Barack Hussein Obama Ⅱ) 대통령의 두뇌연구 프로젝트 브레인 이니셔티브(BRAIN Initiative)가 생각나 기자가 이를 언급했다. 그러자 조 이학 박사는 “1990년에 미국의 전 대통령 조지 부시가 뇌를 연구해보라고 제안해 2000년까지 10년 동안 연구했는데, 아무것도 알게 된 것이 없다”고 했다.

“다시 최근에 와서 오바마 대통령이 브레인 이니셔티브를 2013년에 35억 불을 투자했고, 구라파에서는 ‘15억 불을 쓰겠다’. 일본에서도, 중국에서도 ‘뇌를 연구하겠다’. 하지만 아직 별다른 성과는 없습니다”

조 이학박사는 중국 ‘차이나 슈퍼브레인’의 자문 교수이기도 하다. 차이나 슈퍼브레인은 오바마 대통령의 브레인 이니셔티브와 같은 맥락의 프로젝트다. 이렇게 중국, 일본 등 사방에서 하고, 우리도 한다는데 제대로 해야 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조 이학박사는 이것은 하루아침에 되지 않고, 몇십 년은 연구해야 한다고 했다. 이것이 ‘묻지마 연구’의 일종이다.

“연구할 때마다 조금씩 보이니까 이런 것을 하나씩 서로 맞춰보는 것입니다.”
▶ 관련 기사 다음 ➄호에

[김현지 기자의 아웃사이더] “묻지마 연구해야 한국 경제 산다”④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1부 김현지 기자입니다. 산업 관련 빅데이터(Big Data), 3D프린터, 스마트기계,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I), 웨어러블 기기, 가상현실(VR) 분야 등과 함께, ‘산업인 24시’, ‘동영상 뉴스’, ‘동영상 인터뷰’ 를 통해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