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전 세계 제조업 대세인 ‘빅데이터’, 한국에서는 외면
김현지 기자|press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전 세계 제조업 대세인 ‘빅데이터’, 한국에서는 외면

한국의 100명 미만 기업 “빅데이터에 관심 없다”

기사입력 2016-02-22 12:00:0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전 세계 제조업 대세인 ‘빅데이터’, 한국에서는 외면
[산업일보]
SCM World-MESA에서 2014년 전 세계 제조업과 관련 산업에 속한 166개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 산업의 미래를 주도하는 3대 기술을 조사한 결과, 모바일 기술과 응용프로그램이 75%로 가장 높았고, 빅데이터 분석이 68%로 그 뒤를 이었으며, 미래형 로봇이 64%로 상위를 웃돌아 3대 기술로 선정됐다.


이번 조사는 미국을 비롯한 북미와 남미 지역 38%, 중동과 아프리카 40%, 아시아와 호주 22%의 기업이 응답했으며,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는 이번 특히 제조 공정의 개선과 관련해 깊은 통찰력을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에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고 평했다.

또한, 제조업의 49%는 빅데이터 관련 투자를 계획하거나, 빅데이터 분석의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중이라며, 이것이 미래를 준비하는 제조업의 글로벌 투자 트렌드라고 밝혔다.

이미 빅데이터를 제조 분야에 도입해 활용하고 있는 비중도 21% 가까이 된다는 것은 제조업에서 빅데이터를 향한 투자가 활발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처럼 글로벌 시장에서의 빅데이터가 제조업의 대세임에도 불구하고 2015년 NIA의 ‘업종별 빅데이터 도입현황 조사’ 결과, 한국은 빅데이터 활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100명 미만의 직원이 있는 제조 기업은 CEO의 관심도, 투자계획, 빅데이터에 관한 필요성 인식 등이 다른 산업군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NIA는 밝혔다.

빅데이터에 대한 전체기업의 관심 수준은 낮지만, 빅데이터 도입을 위한 움직임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를 도입한 기업 대부분은 ‘고객관리 및 마케팅’, ‘리스크 관리’, ‘비즈니스 변화 모니터링’ 등에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기업들이 실질적 매출과 연계되는 분야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대가 높음을 보여준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에 의하면 2014년에는 100인 이상을 직원으로 둔 국내 전체 기업의 빅데이터 향후 도입의사가 2014년 26%에서 2016년 30.2%로 증가했지만, 아직도 전 세계적인 관심에 못 미치는 현황이다.

또한,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 요구로는 ‘빅데이터 관련 성공사례 전파’와 ‘관련 법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편, 미래부 관계자는 “올해 빅데이터 선도서비스와 주요 산업 분야 전략모델 실증사업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스타트업에 관한 사업화 지원을 강화하는 등 빅데이터의 본격 확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1부 김현지 기자입니다. 산업 관련 빅데이터(Big Data), 3D프린터, 스마트기계,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I), 웨어러블 기기, 가상현실(VR) 분야 등과 함께, ‘산업인 24시’, ‘동영상 뉴스’, ‘동영상 인터뷰’ 를 통해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