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스마트공장 생산성향상·수주 증가
안영건 기자|ayk287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스마트공장 생산성향상·수주 증가

스마트공장추진단, 불량률감소 등 상당 성과 이끌어내

기사입력 2016-03-10 15:39:2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스마트공장 생산성향상·수주 증가
자료=스마트공장추진단

[산업일보]
경북혁신센터가 구미시에 위치한 자동차부품 생산업체인 ㈜DPM테크에 대해 스마트공장을 지원한 결과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4개의 주요 생산품이 매달 120만개 추가 수주할 정도로 성장했고 근로환경 개선으로 청년 등 28명을 신규채용했다.

경산시에 위치한 또다른 자동차부품 생산업체인 (주)전우정밀 또한 설비효율이 11% 개선됐고 원자재 투입소요시간을 75% 단축했다.덕분에 42.1억 원이라는 비용절감, 도요타⋅현대기아차 등 추가 수주로 매출 27%가 늘었다.

그동안 정부가 대기업과 합동으로 중소‧중견기업 총 1,240개사(2015년말, 누적)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 약 25%의 생산성 향상 성과를 가져왔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추진단이 조사한 결과 불량률 감소(△27.6%), 원가 절감(△29.2%), 시제품 제작기간 단축(△7.1%)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혁신센터의 경우, ’15년 137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전환을 지원해 수혜기업의 품질개선(77%), 생산성 향상(139%)을 통한 해외수주 확대 등 상당한 성과를 냈다.

정부는 이러한 경북지역의 우수한 성과를 올해 전국으로 확산하기로 하고 민관합동 총 575억원(정부 352억원, 민간 223억원)을 조성해, 약 800개사(누적 2,000개사)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혁신센터'는 기업 발굴부터 신청 접수, 기업 선정, 시스템 구축지원과 사후 관리까지 포괄적 역할을 수행, 스마트공장추진단은 사업 총괄관리 및 혁신센터 운영 전반을 지원한다.

정부는 특히, 대기업 연계가 약한 뿌리기업 등 2⋅3차 이하의 중소기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반월시화산단을 스마트공장 '거점 클러스터화' 해 ▲대표 스마트공장 지원 ▲데모 스마트공장 구축 ▲클라우드형 보급 추진 ▲견학을 통한 체험⋅벤치마킹 기회를 제공한다는 생각이다. 아울러 스마트공장 핵심기술 개발 및 표준 확립 등 민간의 자발적 스마트공장 구축을 촉진하기 위한 기반 조성을 위한 노력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분야 최고의 전문기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꾼이 꾼을 알아보듯이 서로 인정하고 인정받는 프로가 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The pen is mightier than the sword’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