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카드뉴스] 청년과 중소기업 일자리 ‘비상’
대기업·정규직 임금을 100으로 보면, 중소기업·정규직은 절반, 중소기업·비정규직은 1/3의 임금수준입니다.
이로 인해 청년은 일자리 부족, 중소기업은 상시적인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2조1천억 원의 예산을 투자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청년들이 체감하는 정책효과성은 높지 않은 실정입니다.
청년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서는 근로자 간 격차 해소와 기업 간 상생 촉진을 통해 현재 일자리를 청년이 갈만한 일자리로 개선해야 합니다.
또한 미래지향적 노동시장 제도·관행 정착을 통해 직접 고용기회를 확대하고 경제의 일자리 창출력 제고, 고용서비스 혁신을 통해 적재적소에 취업을 촉진하고 일자리 디딤돌 역할을 강화해야 합니다.
하지만 변화의 움직임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IMF 직후부터 대기업 사무직은 호봉제를 폐지하고 연봉제 도입, 대기업의 생산직은 호봉제를 유지해왔으나, 최근 현장의 개선움직임이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5월 경제 총 조사에 따르면 ‘공정인사 지침에 따라 인사제도의 개편을 위해 노력중인 사업장이 78.3%’ 등 현장의 변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올 하반기 고용노동정책의 중점 목표는 청년일자리 창출인만큼 청년의 시각에서 정책을 추진해야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갈 수 있고, 결국 모든 계층이 혜택을 보고 상생이가 능합니다.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미디어 ‘산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