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UAE 경제 둔화 예상, 한국 대응방안은?
최시영 기자|magmacsy@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UAE 경제 둔화 예상, 한국 대응방안은?

외부 경제 민감해 리스크 관리 주의 필요

기사입력 2016-08-22 10:10:1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UAE 경제 둔화 예상, 한국 대응방안은?


[산업일보]
아랍에미리트(이하 UAE) 올해 하반기 경제는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유가 장기화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KOTRA 두바이 무역관에 따르면 장기화 되고 있는 저유가의 영향에도 올해 하반기 UAE 경제 전망은 비교적 안정을 보일 전망이다. 그러나 그간 축적해온 재정 흑자폭이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할 뿐 아니라, 젊고 부유한 인구분포와 회복되고 있는 외국인 투자유입 등은 완충재로 작용하고 있다.

물가상승, 금융기관의 유동성과 은행 수익성 감소 등의 통화지표는 가계경제 및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 상승 등의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종 보조금 철폐와 주택임대료, 관리비 등의 상승으로 인해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2008년 이후 최고치에 달했다.

올해 UAE 수출은 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교역량 감소, 저유가로 인한 수출액 감소, 자국통화 강세 등의 이유로 2013년 대비 18.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UAE는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과 GECF(Gas Exporting Countries Forum) 회원국으로, 에너지 자원 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 유가하락은 수출액 감소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

그간 쌓아온 재정흑자로 운용되는 국부펀드의 영향으로 UAE의 국가채무는 낮고 비교적 건실한 재정 상태를 유지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ADIA의 20년 장기투자 수익률은 지난해 말 기준 6.5%로 전년의 7.4%에 비해 다소 하락하는 등 유가하락, 세계적 경기침체에 따른 채권시장의 수익률 악화, 신흥시장 경기침체 등이 UAE 국부펀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유가하락에 따른 정부수입 감소로 사상 첫 재정 적자를 경험한 이후 다시 돌아온 저유가에 대비하는 UAE 정부 대처는 단호하다. 지난해 8월 이후 연료에 대한 보조금 제도를 개편하고, 지난 1월 물과 전기요금제도 정비를 통해 상승한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KOTRA 두바이 무역관 측은 “IMF는 UAE의 에너지보조금제도 개편, 세제 개혁 등 그간의 재정다각화 노력을 환영하면서도 지속적인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며 “이에 부가가치세 및 법인세 도입,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 변경 등의 기업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법아들이 연내에 도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미국 금리인상 움직임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UAE 경제에 크게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외부 경제에 민감한 UAE 진출을 위한 리스크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 AI와 로봇에서부터 드론과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해 나나가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