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비상전원용 ESS 확산 위한 대책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비상전원용 ESS 확산 위한 대책

즉시 전기 공급 가능해 빠른 대응 가능

기사입력 2016-09-28 19:32:48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우태희 차관은 28일 LS 산전 R&D 캠퍼스를 방문해 디젤 비상발전기를 대체한 비상전원용 에너지장치(이하 ESS) 설치현장을 살펴보고, 비상전원용 ESS 확산을 위한 현장애로 청취와 확산방안을 논의했다.

비상전원용 ESS의 허용은 지난 2월 17일 제9차 무역투자진흥회의 때 기업의 현장애로사항에 제기된 안건으로 산업부는 ESS가 비상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지난 2월 24일 비상전원용 ESS적용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후 국민안전처 등 유관부처 및 기관과 협조해 비상조명·소화 설비 화재안전규정, 전기안전관리자·사용전 검사 기준 등 관련 규정 정비를 완료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한전과 LS 산전에서 1MWh급 비상전원용 ESS 설치를 완료했으며 연말까지 한수원 및 ESS관련 기업 중심으로 비상전원용 ESS가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다.

비상전원용 ESS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소음·진동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정전 후 즉시 전기 공급이 가능해 위기상황 발생 시 빠른 대응이 장점이다. 또한 ESS는 디젤발전기에 비해 실시간으로 손쉽게 작동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정전 시 비상발전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도 방지가 가능하다.

그동안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ESS는 주파수조정용, 풍력 연계, 피크저감에 주로 활용됐으며 향후에는 비상전원은 물론 태양광 연계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활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비상전원용 ESS 설치 현장을 방문한 우태희 차관은 “ESS는 전력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핵심요소로서, 비상전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계속 확대할 것”이라며 “비상전원용 ESS는 전력공기업을 중심으로 선도적 시장을 창출하는 동시에 내년에는 비상전원용 등 ESS 보급 확산을 위해 68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향후에도 ESS 기반의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를 발굴·확산해 ESS 산업의 경쟁력 높이는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