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이란 정부, 신재생에너지 개발 주목
최시영 기자|magmacsy@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이란 정부, 신재생에너지 개발 주목

SUNA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 중

기사입력 2016-10-05 10:11:3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이란 정부, 신재생에너지 개발 주목


[산업일보]
이란의 신재생에너지 장래가 주목되고 있다. 이란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KOTRA 테헤란 무역관에 따르면 이란은 세계 4위의 원유 매장량과 세게 1위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로서 주요 원유 생산국이다. 이란 내 자원 소비량 중 천연가스 및 석유는 98%를 차지하며 나머지 2%는 수력·풍력 등 기타 신재생에너지로 구성된다.

이란 정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과 석유 가스 및 수출 증대 목적으로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급격히 성장한 이란 국내 에너지 수요 관리를 위한 계획을 추진 중에 있으며, SUNA(이란 신재생에너지 기구)를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이란 정부는 이란 내 풍부한 풍력 및 태양복사열 개발을 위한 기술 축적 및 이에 대한 정보 수집을 계획 중이다. 현재 높은 수준의 인센티브를 통해 지원 제도를 시행 중이며, 수혜기간 또한 보장하고 있다.

이란 제6차 5개년 개발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4천500㎿ 규모의 풍력 발전 및 500㎿ 규모의 태양열 발전을 통해 총 5천㎿ 신재생에너지 추가 생산을 계획 중이며 수력 생산용량을 2007년 약 7천707㎿에서 2025년 1만9천㎿로, 풍력 생산용량을 200년 74㎿에서 2025년 6천㎿로, 2007년 전무했던 원자력 발전소 생산용량을 2025년까지 2만㎿로 신재생 전력 생산 산업을 장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KOTRA 테헤란 무역관 측은 “현지 에너지 소비율 및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란 정부는 에너지원 개발에 대해 주목하고 있으며 고효율, 친환경 대체에너지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개발 재원 부족, 기술력 부족 및 외국 기업의 실질적 투자가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에 따라 현재까지 신재생에너지 개발 프로젝트 및 사업은 답보 상태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제6차 5개년 개발계획의 원년이며 현 이란 정부의 임기 마지막 연도임을 감안한다면 현재로서는 해당 개발 및 발전사업에 대해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유가 상승 등 외생변수 개선 등으로 재원 확보에 어려움이 제거된다면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발전사업은 추진력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 AI와 로봇에서부터 드론과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을 해 나나가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