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성남시에 소재한 화재경보용 감지기를 생산하는 00업체 대표 A씨. A씨는 대기업 컴퓨터 사업부에서 10여년간 근무하다 30대 중반에 가전 대리점으로 첫 창업을 시작했다. 사업 수완이 좋아 창업 첫 해에 매출 10억을 올리는 등 수도권 400여개 대리점 가운데 베스트 매장으로 선정됐다.
40대 후반에 중국 사업을 추진했으나 현지 사정을 잘 몰라 사기를 당하고, 지인이 부당 이득을 취하는 등 사업에 어려움을 겪으며 50대 중반의 나이에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면서 가족까지 신용불량자가 되고 뿔뿔히 흩어지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그럼에도 좌절하지 않고 재기에 도전했다.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만으로 정부 재창업자금을 5억여 원을 지원받아 무게는 가볍고 오작동도 현저히 줄인 불꽃감지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제품 출시 후 10개월동안 15억 6천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현재 포스코, 지멘스, 소방기관 등 전국 5천여곳과 구매 계약을 체결한데 이어 멕시코, 영국 등 해외 시장에도 수출을 시작했다.
#. 대구시에 소재한 무인 원격제어 로봇으로 고층 건물 외벽을 도색하는 00 업체 대표 B씨. B씨는 대형식당, 주유소 등을 오픈하면서 한 때 잘 나가는 사장이었으나, 믿고 맡긴 직원이 자금을 횡령하면서 한 순간에 신용불량자로 전락했다.
사업 실패 후 재기를 위해 현수막 찍어내는 일을 하던 중, 건설사 분양광고 현수막을 붙이러 갔다가 아파트 벽면 도색을 하는 모습을 보고 현재 제품의 아이디어를 얻었다. 경영학을 전공한 탓에 기술은 문외한이었지만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결과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개발에 성공했다.
제품 개발 과정에서 ‘신용불량자’라는 주홍글씨로 인해 시중 은행에서 자금을 융통할 수 없었다. 그 때 B대표에게 마중물이 된 것이 정부 재창업자금 1억 원. 현재 국내는 물론 중국, 베트남에서까지 러브콜을 받고 있다.
최근 3년 사이 창업자의 연대보증 면제가 1천200배 이상 증가하고, 정부의 지원을 받아 재창업한 기업이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실패기업인의 재도전 환경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그동안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연대보증 면제 확대, 조세부담 완화, 채무조정범위 확대(50%→75%), 신용정보 공유제한 등 창업 기업인이 사업 실패시 재도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을 제거하는 한편, 재도전종합지원센터 설치, 재창업 자금 확대, 재도전성공패키지 지원사업 추진 등 실패기업인의 재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을 대폭 확충했다.
기술력과 경험이 있으나 실패로 인한 신용하락으로 민간자금 이용이 곤란한 재창업자를 지원하기 위한 ‘재창업 자금’(융자)을 2013년 400억 원에서 올해 1천억 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또한, 실패기업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와 재도전 분위기 확산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중소기업청, 시중 금융기관이 공동으로 재도전 인식 개선을 추진했고, 지난 7월에는 성실경영평가제도를 도입해 정직한 실패가 용인되는 문화를 확산시켰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창업자의 연대보증 면제,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지수 등 실패기업인의 재도전 환경관련 주요 지표가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중소기업청은 밝혔다.
우선 정책금융기관(중진공, 신·기보)의 창업자 연대보증 면제가 2013년에 비해 1천200배 이상 증가(2013년 5개 사, 19억 원→ 올해 9월 6천개 사 1조 9천억 원)했고, 정부 지원을 받아 재창업에 성공한 기업은 최근 3년 사이 약 2배가 증가(2013년 244개 사→2015년 466개 사)했으며, 정부의 꾸준한 제도개선과 지원확대로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지수는 2013년도에 비해 4.1%p 감소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청 성녹영 재도전성장과장은 “창업과 재도전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반영하고 재도전 걸림돌 제거와 지원 사업 확충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온 결과”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성실한 실패를 용인하고 재기를 북돋아 주는 재도전 환경 조성을 위해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제도를 꾸준히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