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대응할 통상전문 조직 필요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 기업의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때문에 무역업계 차원의 통상전문 조직 구축이 필요하다.
한국무역협회(이하 무협)는 삼정KPMG와 공동으로 7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무역유관기관 및 기업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통상정책 변화와 한국 기업의 대응’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미국의 반덤핑·상계관세 등 무역 구제조치를 강화함으로써 기업들의 조사대응을 어렵게 해 통상 전문조직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정KPMG 심종선 이사는 세미나에서 발표자로 나서면서 미국의 통상리스크 대비를 위해 전사적·입체적·사전적 대응을 위한 기업 내 통상 전문조직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라 피제소 기업의 조사강도가 심화돼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체결된 FTA뿐만 아니라 다양한 FTA를 조합해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한편, 오랫동안 지속된 수출위주의 가격정책, 한국식 편의주의 관행 등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통상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돼 통상압력 수단, 세제개혁, 무역구제조치 강화 등에 대한 전문가의 설명 및 향후 변화된 환경에서 한국 기업의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
미국KPMG 박상환 파트너 등은 현재까지 트럼프 행정부의 세제개혁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기업의 대응전략을 제시했다. 이어 의회, 행정부 모두 구체적인 세제개혁안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선거기간의 공약과 하원 공화당의 청사진의 내용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 투자환경 및 수출입 기업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입법절차상 국경조정세의 현실화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되고 그 과정에서 변화 가능성도 크지만 이 세제개혁의 현실화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되고 변화 가능성도 크지만 가장 큰 불이익이 예상되는 외국 공급자들은 입법화 과정을 예의주시하면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미국KPMG 울리히 슈미트 파트너는 미국 세제개혁, 규제완화, 인프라 투자, 무역협정 개정 등 미국의 정책변화를 감안해 미국에 대한 투자 기회가 촉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비즈니스에 대한 인센티브와 관련해 법적인 권리로써 제공받을 수 있는 세제상의 혜택 이외에 주정부 또는 지방정부의 재량으로 결정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인센티브 협상을 통해 최대한 얻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