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운송장비 투자 감소 불구 기계류 투자 증가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운송장비 투자 감소 불구 기계류 투자 증가

생산 회복세, 투자 증가세 둔화, 소비활동 부진

기사입력 2017-03-28 08:27:08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운송장비 투자 감소 불구 기계류 투자 증가

[산업일보]
1월 전산업생산지수는 전월대비 1.0% 증가한 116.0으로 전년동월대비 3.6% 증가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2%) 투자는 감소했지만 기계류(5.2%) 투자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수출입은 해외경제연구소의 월간 국내외거시경제 동향에 따르면 공공행정(△5.8%), 건설업(△0.7%)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전자부품 등 광공업(3.3%)과 운수업 등 서비스업(0.5%)의 생산이 늘어 전월에 비해 상승했다.

소비와 관련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0.6%)는 증가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4.5%), 화장품 등 비내구재(△1.9%) 판매가 줄어 하락했다.

1월 설비투자는 전월대비 2.6%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대비 11.4%로 뛰었다. 1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대비 0.7% 하락했지만 전년동월대비해서는 14.4% 증가한 규모를 보였다.

2월 수출은 반도체(56.7%)·석유제품(72.6%) 등 증가, 선박(△30.9%)·무선통신기기(△26.9%) 등 감소했으나 전년동월대비 20.2% 증가한 432억 달러로 2012년 2월(20.4%)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2월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23.9% 증가한 361억 달러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조제식품·가전제품 등 소비재(4.5%), 원유·석탄 등 원자재(38.7%),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자본재(13.7%) 모두 늘었다.

고용 한파도 심각했다.

2월 취업자는 2,578만 8천명,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0.4%p 상승한 59.1%로 조사됐다. 실업자 135만 명으로 외환위기(1999년 8월 136만 명) 이후 최대치, 실업률 역시 5.0%를 기록해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2월 구직단념자는 49만 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4천명 증가, 청년실업률은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12.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12.3%로 조사됐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