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선진국, 국가 주도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비
KOTRA, “Fast Follwer로는 부족” 경고
세계 각국이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110여개의 첨단 융합제품 등을 개발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 중인 가운데, 국가 차원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OTRA는 지난 2일 ‘4차 산업혁명시대, 첨단제품 개발트렌드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소개된 주요 18개국에서는 국가 차원의 정책, 전략, 지원제도가 이미 정책됐으며 첨단 기술들이 융복합된 제품과 서비스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인 미국, 일본, 독일, 중국, 러시아 등은 국가적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 중이다. ▲미국은 ‘미국혁신전략’, ‘국가제조혁신네트워크’ ▲일본은 ‘신산업구조 비전’ ▲독일은 ‘신하이테크 전략’ ▲중국은 ‘제조 2025’, ‘인터넷 플러스’ ▲네덜란드는 ‘스마트 산업’ ▲스위스는 ‘디지털 스위스’ ▲러시아는 ‘2035 국가 기술 이니셔티브’ 등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산·학·연 간의 협력 플랫폼 구축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전폭적인 예산 지원 및 규제 정비 ▲플랫폼 구축 등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보다 지원 쪽으로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KOTRA는 주장했다.
한편, KOTRA는 이 보고서를 통해 현재 상용화된 110여 개의 제품을 소개하면서 첨단 기술이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110여 개의 제품 외에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화두인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3D 프린팅, 빅데이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용도의 제품들이 상용화 단계에 있다고 언급했다.
KOTRA 관계자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는 ‘Fast Follower(재빠른 추격자)’ 전략으로 살아남기 힘들다”며 “기술 개발은 민간의 자유로운 환경조성이 핵심으로 이를 전담할 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에 뒤처지지 않도록 국가 간의 교류와 소재부품 개발 등의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