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내수시장에 머물렀거나 해외 시장에 눈을 돌리려 했던 국내 중소기업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는 행사가 18일 개최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는 내수기업의 신규 수출 지원을 위해 이날 서울 양재동 aT 센터에서 ‘2017 수출첫걸음 종합대전’을 연다고 밝혔다.
KOTRA 127개 해외무역관은 내수기업 제품을 수입하려는 바이어를 발굴, 국내기업과 사전 화상상담과 교신을 지원하면서 최종 상담주선을 이끌었다. 이번 행사에는 51개국에서 총 217개 해외 바이어가 방한, 내수기업 661개사와 1천600여건의 수출상담을 진행하며, 상담회 당일에만 총 30건의 수출계약과 MOU를 체결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호주의 J사는 국내기업 K사와 지능형 접근경보시스템에 대한 수출계약을 체결하고, 파키스탄의 M사는 S사의 과적방지 솔루션을 수입하기로 했다. 한류의 영향도 찾아볼 수 있었다. 베트남의 T사는 “베트남은 한국 문화와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삼계탕, 육개장 등을 가공 제조하는 식품기업 M사와 50만 달러의 수출계약을 체결한다. 중국의 W사는 한국 뷰티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를 언급하며 비비스틱을 수입하기로 했다.
행사장 한편에는 내수기업의 기술혁신제품과 한류 제품을 위주로 48개사의 쇼케이스가 설치돼 재미와 흥미를 더한다. 특히 한지를 활용한 공예제품, 한복 등 한류 제품에 바이어의 관심이 높다. 아울러 도마살균기, 3D 프린터 등 아이디어를 결합한 첨단 기기에도 관심을 나타냈다.
18일 행사에는 무역협회, 무역보험공사, 기업은행, 신한은행, 해외규격획득인증기관 등 수출 유관기관들도 함께해 평소 우리 내수기업들이 궁금해 하는 수출금융과 해외인증에 대해 원스톱 상담을 진행한다. KOTRA-무역보험공사-신한은행은 내수기업 단체수출보험 지원 및 금융혜택에 대한 3자 MOU를 체결,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지원에 대한 결의를 다질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의 수출회복세가 견고하게 유지·확대 될 수 있도록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수출저변을 대폭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수출지원 유관기관 간 협의를 통해 내수기업 대상 연계 프로그램을 추가 발굴 하는 등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김재홍 KOTRA 사장은 “최근 연구결과를 보면 2016년 수출의 취업유발인원은 총 408만 명, 수출 100만 달러당 8.23명의 취업유발효과가 있다”며 “이렇듯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는 개별 중소기업의 성장은 물론 일자리 창출과 내수회복의 밑거름이 되기 때문에, 올해 수출첫걸음 바우처를 신설하고 전문위원을 확충하는 등 더 많은 기업이 수출기업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중”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