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국민안전 종합 대책 추진
국민안전서비스 확대 및 청년일자리 창출
최근 대규모의 자연재난이나 예측이 불가능한 사회재난이 급증함에 따른 불확실성을 줄이고 사전예측과 예방, 대비·대응, 복구, 조사 분석 등 재난관리 전 과정에서 ICBM(IoT, Cloud, Big Data, Mobile)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국민안전처는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한 국민안전서비스 확대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해 국민안전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1월부터 전담팀을 구성하고 각 분야별 전문가의 자문·컨설팅을 받아 ‘제4차 산업혁명 기술적용 국민 안전서비스 및 청년일자리 창출 계획’의 기본방향을 확정했다.
또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과제공모 등을 통해 약 1조5천억 원 상당의 90개 과제를 발굴했다. 이 중 빅데이터 분야는 ▲다부처를 활용한 공동장비 체계적 운용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해역별 해양사고 위험도 평가 및 대응지원시스템 구축 등 17개 과제가 제안됐다.
무인기술/사물인터넷 분야는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국민 안전 문제 해결 대응체계 구축 ▲드론·로봇을 활용한 전시동원, 물자·장비 수송 훈련 ▲ICBM 기반 한반도 방사능 상시감시체계 구축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기상변화 및 재난대응 도로 시스템 구축 등 43개 과제가 제안됐다.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제안된 과제는 ▲재난대응용 소방대원 가상현실기반 훈련시뮬레이션 개발 ▲해난사고 구조 훈련용 표면공급잠수 시뮬레이터 개발 ▲인공지능 기반 통합적 홍수 예·경보 체계 구축 등 30개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한 국민안전서비스 확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제를 선별해 실제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향후 주요사업을 중심으로 예산부처에 건의해 예산을 확보하고, 범정부 종합대책을 마련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