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부산, 중견기업수 경남 제치고 3위로 도약 '산단 가동률 ↑'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부산, 중견기업수 경남 제치고 3위로 도약 '산단 가동률 ↑'

조선업 5월 누적 선박수출 2억7천200만 달러로 증가

기사입력 2017-07-14 05:19:5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부산, 중견기업수 경남 제치고 3위로 도약 '산단 가동률 ↑'
상용근로자 비중 및 부산고용률/부산 연도별 창업자수 추이(출처=국세청 국세통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산업일보]
부산 경제가 대체적으로 튼튼해지고 있다. 부산 경제의 종합지표인 경제성장률 측면에서 2013년에는 전국보다 1.0%p 낮은 1.8%에서 2015년에는 2.9%로 전국보다 0.1%p 높아졌다. 이에 따라 2008년 이후 지역총생산의 전국비중도 2013년을 저점으로 2년 연속 확대돼 5%대로 진입했으며 1인당 개인소득은 2012년 이후 4년째 전국 3위를 유지하고 있다.

대기업이 부족한 부산시 입장에서 중견기업이 크게 늘어난 것은 고무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13일 부산시에 따르면 올해 1월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2015년 기준 지역별 중견기업수를 살펴보면 부산의 중견기업은 2014년 152개에서 2015년은 191개로 무려 39개(25.6%)가 증가돼 전국 4위에서 3위로 도약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기준변경(5조→10조) 등을 제외하면 19개사로, 12.5% 증가돼 전국 2.8%의 4배가 넘고 전국증가수(82개)의 4분의1(19개)이 부산기업이다. 부산중견기업의 총고용인원은 2014년 3만3천명에서 2015년 4만5천명(1만2천명 증가)으로 집계돼 그 만큼 좋은 일자리가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매년 전입기업은 늘고 전출기업은 줄어 지난해 전입기업은 95개인 반면 전출기업은 2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6기 이후 올 상반기까지 부산시는 모두 89개 기업과 1조 7,407억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으며 이로 인한 고용유발은 1만2천명이 넘는다.

부산은 높은 노인인구와 학생 비중 등 구조적으로 낮은 고용률을 보여 왔으나 서시장 취임이후 고용률 추이를 보면 지속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올해 들어 고용률은 꾸준히 증가했는데 5월의 경우 64.0%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또한 청년 고용률은 2013년 37.7%에서 올해 1분기에는 41.5%로 3.8%p증가됐으며 이에 따라 전국과의 격차도 2.0%p에서 0.2%p로 줄어들었다

고용의 질적 측면에서도 합격점이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의 비중이 매년 증가, 2013년 57.2%에서 올 1분기에는 64.4%로 7.2%p나 증가됐으며 전국과의 격차도 7.1%p에서 3.6%p로 줄었다.

부산은 창업생태계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2011년 7만703명에서 2013년 6만7천681명으로 줄어든 창업자수도 서시장 취임이후 3년 연속 증가해 지난해에는 7만4천899명으로 늘었다. 반면 폐업자수는 2015년 4.4% 감소돼 전국과 7대도시 평균인 3.1%와 3.8%보다 감소폭이 높았다. 지난해는 과당경쟁 등으로 전국적인 폐업자수가 15.1% 증가됐으나 부산은 10.4% 증가에 그쳐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선의 이면에는 그동안 부산시의 기업친화적인 정책적 노력이 돋보인다. 부산시는 민선6기 들어 7개의 산업단지 462만㎡를 추가 조성했고 부산형 히든챔피언 및 선도기업 지정․육성과 기업 규제개혁, 창업생태계 조성 등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산업단지의 경우 2014년 1분기 입주업체가 5천97개에서 2017년 1분기에는 8천525개로 67.3%가 증가됐으며 입주업체 대비 가동업체 비율인 가동률은 83.4%에서 92.4%로 9.0%p가 증가돼 전국평균인 91.9%를 넘어섰다.

지난해 침체를 보이던 부산의 경기도 올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취업자수가 4월 이후 회복세로 돌아섰고 중소기업 평균가동률도 전국대비 높아졌다. 또한 지난해 어려움을 겪었던 조선업의 경우 올해 5월 누적 선박수출은 2억7천2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6배 늘었으며, 항만물동량도 844.4백만TEU로 5.2% 증가됐다. 부산 상공회의소가 10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경제전망에서는 부산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비중이 63%로 나빠진다라는 의견(10%)의 6배가 넘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