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농장 전수 검사 결과, 49개 농장 부적합 판정
부적합 판정 농장, 전량 회수·폐기조치 및 추가 검사 실시 예정
최근 국내산 계란에서 살충제가 검출돼 현재 국민들의 식탁에는 자체적으로 계란 금지령이 내려진 상태다. 이에 정부는 국내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검사에 들어갔고, 그에 대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아울러 향후 국내에서 유통되는 계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8월 15일 0시부터 전국의 모든 산란계 농장의 계란 출하를 중지시키고, 즉시 산란계 농장에 대해 전수 검사를 개시해 8월 18일 09시에 완료했다.
총 1천239농장을 검사한 결과 1천190개 농장이 적합, 49개 농장이 부적합으로 판정됐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49개 농장은 일반 농장(전체 556개) 18개, 친환경 농장(683개) 31개이며, 이들 농장에서 검출된 살충제 성분은 피프로닐(8농장), 비펜트린(37), 플루페녹수론(2), 에톡사졸(1), 피리다벤(1) 등 5개 성분으로 확인됐다.
이번 상기 산란계 농장 전수 검사결과와 관련해 일부 농장의 사료 수거과정에서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한 121개 농장을 재조사했다. 그 결과 2개 농장에서 살충제가 추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또한, 전국의 수집판매업체, 집단급식소 등에서 유통 판매중인 계란 291건을 수거해 검사를 완료했으며, 기 부적합 2건 외에 추가 1건이 확인됐다.
정부는 적합판정을 받은 1천190개 농장의 계란(전체 공급물량의 95.7%)은 즉시 시중 유통을 허용했다. 반면, 부적합 농장의 계란에 대해서는 전량 회수 및 폐기조치하고, 향후 2주 간격으로 추가 검사를 실시하며, 부적합 농장주에 대해서는 축산물위생관리법 등 관련법령에 따라 위반사항에 대해서 엄중하게 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농산물품질관리원, 지자체관계기관 등을 대상으로 합동 특별점검반(51개반 153명, 3인 1조)을 구성해 18일부터 부적합 판정을 받은 49개 농가에 대해 오염된 계란의 회수 및 폐기 상황 등을 직접 점검중에 있다.
정부는 계란 안전관리 강화 등을 위해 농식품부와 식약처 등 관계기관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부처간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축산물 정보공유체계 확립을 위해 협의체 구축 등 생산과 안전 분야에 대한 상호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협의체를 구성해 부처간 이견조정, 추가적 제도개선, 협업을 위한 사항에 대한 조정 등 컨트롤 타워 기능도 강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계란 살충제 사태로 국민 여러분에게 심려를 끼쳐 드린 데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리며,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후관리 등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마무리해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식품이 국민들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