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특화기술 개발사업, 오픈마켓부터 멘토링 지원
참신한 아이디어로 뭉친 경기도 내 소상공인들이 국내·외 시장서 매출고를 올리고 있다.
경기도는 ‘소상공인 특화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우수아이템과 신기술을 보유한 소상공인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경쟁력 강화를 돕는다고 23일 밝혔다.
‘아이템개발’ 분야는, 금형·목형·샘플제작에 필요한 상품개발비, 시제품 제작용 원재료구입비, S/W 개발관련 재료비 등을 지원한다.
‘사업화’분야는, 인테리어·매장설계, 시공비용 CI·BI 및 제품브랜드용 로고제작, 시제품 홍보와 판매 등을 위한 홈페이지 제작, 카달로그 제작 지원을 최대 500만 원내로 돕는다.
또한, ‘지적재산권’ 분야는 개발된 제품·아이템에 대한 지적재산권 출원비를 지원하며 ‘판로개척’에서는 경기도주식회사, 오픈마켓 등의 판로 수수료를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지원 사업을 통해 지난해, 지적재산권 획득 18건(특허6, 상표10, 디자인2), 기술창업 4개사, 고용 창출 15명 등의 성과를 거뒀고, 올해에 20개 업체를 지원해 1개사 당 평균 매출액이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개 업체가 중국 수출 및 대기업 납품 계약 등을 앞두고 있어 향후 매출액 증가가 예상된다. 실제로 양평 소재 패러글라이더 제작 기업인 A사는 ‘특화기술 개발사업’의 도움으로 해외인증 획득, 초기 수출계약을 통해 6천만 원대의 매출을 올렸으며 현재 추가적인 수출을 앞두고 있다.
의정부 소재 전자부품 업체인 B사는 마케팅·홍보 분야의 도움을 통해, 단셀형 고전압(5V) 칩형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중국 업체와 올 하반기에 30만개, 내년도에는 매월 100만개를 수출하기로 합의했다.
조창범 도 소상공인과장은 “특화기술 개발사업은 전문기술 또는 우수 아이템으로 성장잠재력을 갖춘 소상공인을 깨워 성장·도약하게 하는 사업”이라며 “2018년에는 사업량을 확대해 소상공인의 경영과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