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우리나라 해외 직구 규모가 처음으로 20억 불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해외 직구는 2천359만 건‧21억1천만 불로 2016년 대비 건수는 35.6%, 금액은 29.1% 증가했다. 이는 최근 5년간 해외 직구 평균 증가율 27%를 크게 넘어서는 것이다.
관세청은 해외 직구 저변 확대, 달러 및 엔화 약세로 인한 환율 하락, 블랙프라이데이 등 글로벌 할인 행사로 해외직구가 대폭 늘었다고 23일 밝혔다.
국가별 수입실적에도 변동이 있는데 중국과 일본에서 반입되는 건수가 2016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중국은 2017년 408만8천 건‧2억7천200만 불로 전년도 대비 건수 111%, 금액은 81% 증가했다. 일본은 2017년 202만 건‧1억3천682만 불로 2016년에 비해 건수 103%, 금액적으로는 79%가 상승했다.
건수 기준 미국이 여전히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73%, 2016년 65%, 2017년 56%로 하락세인 반면 중국은 2016년 11%에서 2017년 17%로 올라 유럽과 일본을 제치고 2위에 올랐다.
해외 직구 규모가 커질수록 미국 중심에서 중국, 유럽, 일본 등으로 다변화되는 추세가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품목별 수입실적은 건강기능식품(20.8%), 화장품(12.2%), 의류(11.6%), 전자제품(9.0%) 순으로 2016년과 비교했을 때 컴퓨터 부품,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진공청소기 등 전자제품류가 80%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가정용 청소기는 252%(3만8천554건→13만5천567건)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