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시스템 로봇수술기 등 새로운 의료기기 꾸준히 늘어나
식약처, ‘2018년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 발간
치과용 임플란트, 인체이식형 전자의료기기, 로봇 수술기 등 새로운 의료 품목이 국내외에서 개발돼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29일,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건강 유지와 맞춤 치료를 위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의료기기 6개 품목을 선정해 ‘2018년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치과용 임플란트, 인체이식형 전자의료기기, 로봇 수술기 등 6개 품목에 대한 국내외 시장현황, 기술‧허가현황, 개발 전망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손상된 치아 부위에 티타늄 등 특수 금속으로 만든 인공치아를 이식해 치아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하는 제품으로 임플란트 주변 골 형성 정도가 이식 성공에 영향을 준다.
임플란트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6년 4조8천억 원에서 해마다 8.6%씩 성장해 2020년에 6조7천억 원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치료 시간을 단축하고 이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잇몸뼈‧턱뼈 재생을 도와 골 형성을 촉진하는 ‘바이오임플란트’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에서 허가된 치과용 바이오임플란트 제품은 없다.
인체이식형 전자의료기기는 심장‧신장‧귀 등 신체 장기의 기능을 대신하기 위해 해당 부위에 이식되는 의료기기로, 이식형심장박동기, 이식형의약품주입펌프, 이식형와우시스템 등의 제품들이 허가돼 있다.
인체이식형 전자의료기기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6년 26조2천억 원에서 매년 8.8% 증가해 2021년에 40조 원으로 예상된다.
로봇 수술기는 의사의 수술을 도와주거나 가이드 해주는 의료기기로, 자동화시스템로봇수술기 등이 있다.
로봇 수술기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6년 5조2천억 원에서 연평균 13.2%씩 늘어나 2021년 9조6천억 원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수술‧회복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기 위해 정밀제어시스템,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기술이 접목된 로봇 수술기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는 각각 12건, 23건이 허가돼 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우수한 의료기기가 신속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