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천연가스 수요 늘어 수급 안정화 장기 플랜 마련
산업부, ‘제13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확정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5일, 오는 2031년까지 장기적인 천연가스의 수요 전망과 그에 따른 도입전략 및 공급설비계획 등을 내용으로 한 ‘제13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천연가스의 총 수요는 올해 3천646만 톤에서 2031년 4천49만 톤으로 연평균 0.8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 중 산업용 수요가 올해 1천994만 톤에서 2031년 2천340만 톤으로 연평균 1.24% 증가하고, 발전용 수요가 올해 1천652만 톤에서 2031년 1천 709만 톤으로 연평균 0.26%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안정적 수급을 위해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산출된 LNG 발전량 등에 따른 필요물량을 선제적으로 획득하고, 유가변동에 따른 가격 등락폭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가격 인덱스를 다양화할 계획이다.
또한, ‘연료대체 계약’ 등 가스분야 수급관리 수단을 확충하고, 직수입 증가 등 가스시장 변화에 대응한 국가 수급관리 체계를 개선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가스공사-직수입자가 참여하는 ‘천연가스 수급협의회’를 구성‧운영해 가스 수급 및 인프라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직수입자의 가스수급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가수급 상 필요시 수급관리가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할 예정이다.
아울러, 천연가스 공급인프라의 적기 확충을 위해 2031년까지 제5기지(저장탱크 10기)를 건설하는 등 약 5조8천억 원을 투자하고, 2021년까지 전국 모든 지자체에 대해 가스공급 체계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안정적인 천연가스 수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이번에 수립한 천연가스 수급계획을 충실히 이행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