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인구 대국 중국의 영유아 소비시장 규모 550조 원
이겨라 기자|hj121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인구 대국 중국의 영유아 소비시장 규모 550조 원

20대 유망품목 집중 공략 필요

기사입력 2019-04-29 15:14:0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엔젤산업(Angel Industry, Angel Business)이란 가계 총지출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엔젤지수(Angel coefficeint)에서 파생된 것이다. 엔젤상품의 대상은 통상 0~6세까지의 영·유아 및 7~14세의 아동인데, 연령대별로는 ‘태아(孕)’, ‘영아(嬰)’, ‘어린이(童)’ 세 가지 소비군으로 분류한다. 중국에선 태아와 0~6세까지의 영·유아 등 2가지 소비군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을 합쳐 모영(母嬰)산업이란 개념을 사용한다. 영유아용품은 제품의 유·무형에 따라 ‘영유아 제품’과 ‘영유아 서비스’로 분류하고, 상품 산업에는 영유아 아동복, 분유, 기저귀 등 전통 상품 이외에도 영유아 화장품, 젖병소독기, 카시트 등 新 영유아 생필품 등이 포함된다. 서비스 산업은 교육, 위생 및 의료서비스, 문화레저 산업 등으로 구분짓고 있다.

인구 대국 중국의 영유아 소비시장 규모 550조 원

인구대국 중국의 영유아 소비시장이 커지고 새로워지고 있다. 중국은 2016년 이후 출생인구가 줄고는 있지만 매년 1천500만 명 이상을 유지하면서 영유아 시장은 550조 원 규모로 성장했다.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안전성과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의 ‘중국 엔젤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 영유아 시장이 ‘의‧식‧주‧행‧용‧신(衣‧食‧住‧行‧用‧新)’ 6대 키워드에 의해 움직인다고 봤다. 이에 따른 20대 유망 품목과 서비스를 제시하면서 ▲각 품목별 시장동향 ▲수출시 꼭 알아야할 규제사항 ▲인기제품의 특징 및 전략을 자세히 풀어썼다.

중국 영유아 시장은 2016년에 시작된 ‘두 자녀 정책’의 영향을 받고 있다. 첫째 아이 출산율은 줄고 있지만 둘째로 태어난 신생아 비중이 전체 신생아의 절반을 상회(51%)하면서 영유아 시장에서도 고급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육아관련 소비 증가, 다양한 유통 플랫폼 성장, 안전, 브랜드 중시 등의 새로운 흐름으로 전개되고 있다.

중국 가처분소득 중 육아지출의 비중은 해마다 높아지면서 2022년엔 20%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유통 플랫폼은 과거 오프라인 전문매장 위주에서 온라인 전문몰, 온오프라인 융합, 해외직구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2011년에는 온라인 소비가 3%에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약 24%까지 늘어났다.

바링허우(80년대생), 주링허우(90년대생)가 부모세대가 되면서 품질, 안전, 브랜드를 중시하는 소비패턴이 영유아 용품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중국 정부가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강제성 국가표준, 라벨 규정 등 의무사항을 꼼꼼히 체크할 필요가 있다.

안전사고가 빈번했던 조제분유의 배합비 등록 제도를 지난해 1월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영유아 이유식 분야도 국가표준을 강제시행하며 감독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박한진 KOTRA 중국지역본부장은 “앞으로 중국 영유아 시장은 가격 민감도는 낮은 반면 안전,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는 트렌드가 가속화될 것”이라면서 “중국은 글로벌 기업의 각축장으로 선진국 브랜드와 로컬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어, 우리 기업은 안전과 프리미엄에 주력하면서 디테일한 아이디어를 가미해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국제산업부 이겨라 기자입니다. 전자, 기계, 포장산업 등 중화권 소식과 전시회 소식을 발빠르게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