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첨단 기술의 융합으로 구현될 미래형 도시인 ‘스마트 시티’에 전 세계가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시티 실현을 앞당기기 위한 여러 시범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그중 특히 독일의 움직임이 적극적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인 ‘독일, 스마트 시티, 어디까지 왔나’에 따르면, 독일의 스마트시티 관련 분야는 매년 16.5%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2년 약 438억 규모의 시장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17년 대비 두 배 이상 확장한 규모다.
디지털화와 스마트시티는 불가분리적 관계다. 독일은 이 두 분야에서 모두 선도적인 노력을 보여왔다.
독일은 2013년 초부터 ‘국가 미래도시 플랫폼(NPZ)’을 발족해 독일 도시의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해왔다. 더 나아가, 2015년에는 스마트빌딩, 도시경영 및 관리, 에너지 효율과 모빌리티 및 인프라 시스템, 데이터 관리 등을 주력 연구 분야로 선정하기도 했다.
Handelsblatt Research Institute의 자료에 따르면, 독일 내 가장 스마트한 도시로 꼽힌 곳은 함부르크다. 함부르크는 일찍이 자체적으로 개별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그 뒤를 카를스루에와 슈투트가르트, 베를린, 뮌헨 등이 잇는다.
디지털화의 핵심인 E-정부 구축에 관해 독일은 유럽 내 13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덴마크와 노르웨이,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는 상위권에, 불가리아와 루마니아 등 일부 동유럽 국가는 비교적 낮은 순위에 머물렀다.
현재 스마트시티 분야의 화두는 단연 ‘환경보호’다. 이에 친환경 차를 내세운 ‘신 모빌리티 솔루션’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KOTRA의 박소영 독일 프랑크푸르트 무역관은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토대로 하며, 공유를 통한 잠재력은 지속 가능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모빌리티 솔루션을 통해 실현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독일에서는 디지털화에 박차를 가해, 지속 가능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모빌리티 솔루션을 통해 환경 보호와 교통 문제 해결에 접근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눈에 띈다”라고 언급한 박 무역관은 “특히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등 또한 성장잠재력이 큰 독일 내 스마트 기술 수요와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최수린 기자 sr.choi@kid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