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독일 최대 교역국 중국…독일 경제, 코로나19에 ‘항복’
최수린 기자|sr.choi@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독일 최대 교역국 중국…독일 경제, 코로나19에 ‘항복’

“2020년 경기회복 기대했던 독일에 코로나19가 경기불황 재점화했다”

기사입력 2020-02-29 13:17:2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독일 최대 교역국 중국…독일 경제, 코로나19에 ‘항복’

[산업일보]
2020년 경기 회복을 기대했던 독일에 최대 교역국인 중국으로부터 터져 나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 이하 코로나19)는 크나큰 악재로 다가왔다.

중국은 2016년부터 독일의 최대 교역국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지난해, 양국 간 교역액은 처음으로 2천억 유로를 돌파했다. 이로써 독일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를 정통으로 맞은 국가 중 하나가 됐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보고서인 ‘코로나19, 수출 중심 독일 경제에 미칠 파장은?’에 따르면, 중국에 진출한 독일 기업 약 5천2백여 개 사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제품 생산 및 납품, 판매에 모두 차질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미·중 무역갈등과 브렉시트 등 적잖은 이슈로 인해 불안정한 세계 경제 환경을 걸어 온 2019년, 독일은 0.6%라는 저조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지난 1월, 미·중 무역협상의 1단계 타결 등으로 인해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다소 감소하며 독일 내 경기 회복을 향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찰나, 코로나19를 이유로 한 중국발 수요 감소는 다시 한번 독일의 활기를 꺾어 버렸다.

독일 정부는 2020년 경제성장률을 1.1%로 발표했다.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0.2%p에서 0.3%p까지도 감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OTRA의 김승현 독일 함부르크 무역관은 “2003년 사스(SARS) 당시 독일의 대중 수출액은 183억 유로에 불과했으나, 2019년까지 연평균성장률이 10.9%까지 고속 성장하며, 중국의 독일 수출 시장 점유율도 2.8%에서 7%까지 크게 확대했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중국의 수입 수요 감소가 독일에 미치는 영향력이 사스(SARS) 때 보다도 현저히 큰 상황이라는 분석이 이어졌다. 더불어, 사태가 장기화함에 따라 코로나19의 영향력이 세계 경제 전반으로 확장할 경우, 독일 수출 기업의 손실은 더욱 막대해질 전망이다.

김 무역관은 “한국과 독일의 공통점은 두 국가 모두 수출 중심 경제 성장 모델을 지니고 있어 약 70%의 높은 무역 의존도 때문에 대외경제 변수에 취약한 구조인 것”이라며 “더불어 양국 모두 대중 수출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수출시장 다변화가 절실하다”라고 제언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