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자동차 부품기업 위한 상생프로그램 가동
박시환 기자|psh@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자동차 부품기업 위한 상생프로그램 가동

기사입력 2020-06-11 18:15:2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자동차 부품기업 위한 상생프로그램 가동

[산업일보]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1일 서울 서초구 소재의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 현대자동차그룹, 한국 GM,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 지자체 등이 참여한 가운데 ‘자동차 부품업계 지원을 위한 상생특별보증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정부·대기업·지자체의 협력을 통해 자동차부품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지원하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위기 극복과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했다.

부품기업 금융지원 현황
기술보증기금은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운전자금·시설자금 등 4천300억 원 규모의 보증을 통해 자동차 부품기업에 유동성을 지원했다. 신보도 P-CBO 프로그램으로 40여개 기업에 약 1천700억 원을 지원했다. 산업은행·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도 한도 외 대출 프로그램·만기연장 등을 통해 약 5조원의 자금을 공급했다.

이같은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의 유동성 불안은 어느 정도 진정됐으나,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 부품기업, 해외 공장 생산차질로 인해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중견기업 등 정책의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부품기업 상생특별보증 프로그램 신설
정부, 지자체, 완성차 업계는 5천억 원 이상(기보 4천200억 원 이상, 신보 1천400억 원 이상)의 자동차 부품기업 금융지원 상생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완성차 기업이 240억 원(현대차 200억 원, 한국GM 40억 원)을 출연하고, 정부(200억 원)․지자체(95억 원)가 295억 원을 출연해, 기술력과 안정적인 납품처를 확보하고 있지만, 코로나19 피해 등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등 유동성 확보가 어려운 기업 중심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협약식은 기술보증기금을 통해 중소기업에 특화된 4천200억 원 규모 보증 프로그램을 가동하기 위한 것으로, 완성차 업계(현대차, 한국GM)가 140억 원, 중기부가 100억 원, 지자체가 약 70억 원을 기보에 출연하기로 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작년 말 중기부의 10번째 자상한기업(자발적 상생협력기업)에 선정되어 자동차 부품산업 지원, 스타트업과 자동차 부품업계의 연결을 위한 협력 등도 적극 추진해 오고 있다

우선, 지원대상은 완성차 업계, 지역별 기술보증기금 영업점 등이 추천하는 1~3차 협력업체 중 자산규모 1천억 원 이하, 상시 근로자 1천명 이하의 부품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한다. 신용등급 보다는 해당 기업의 업력, 기술역량, 납품기업 확보 여부 등을 중심으로 지원대상 기업을 결정한다.

지원규모는 업체당 지원금액은 연간 매출액의 1/4~1/3 수준으로, 지원 한도는 운전자금의 경우 최대 30억 원, 시설자금 최대 100억 원까지 지원이 이뤄진다.

기술집약형(기술평가등급이 BB이상인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 등) 중소기업의 경우 운전 50억 원, 우수기술기업(기술평가등급 BBB이상이고 재무등급 B0이상)의 경우 운전 70억 원 이내다.

이번 보증 프로그램은 이달 18일부터 전국 기술보증기금 영업점에 상담 및 신청할 수 있고, 신청기업들은 서류 등을 제출한 후 약 일주일 간 심사를 거쳐 보증서를 발급받게 되며, 은행․농협 등 금융기관에서 대출 신청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기보 자체적으로 보증료의 0.3%p를 감면하고, 신한은행․하나은행을 통해 대출을 받으면 추가로 0.2%p를 감면받아 최대 0.5%p까지 보증료를 감면 받을 수 있다.

중기부 박영선 장관은 “이번 상생특별보증 협약이 정부와 대기업 및 중소기업이 상생 협력하는 동반성장 플랫폼을 확고히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중기부는 자상한기업과 함께 중소기업의 공존과 상생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실현해 나가는데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 자동차 부품업체의 미래차 전환 지원을 위한 현장 애로사항 청취 등을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산업부 성윤모 장관은 오늘 협약식에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품기업들은 수레바퀴 물에 빠진 물고기와 같이 학철부어(涸轍鮒魚)의 상황에 처해 있어, 당장의 물 한 사발과 같은 실질적인 도움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면서, “부품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망을 촘촘하게 구축해 기술력과 납품 역량은 있으나 신용등급이 하락한 기업도 위기를 견뎌 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성윤모 장관은 이어 “중견 부품기업 지원을 위한 상생보증 프로그램도 금융위원회, 신용보증기금 등 관련기관과 협의를 거쳐 6월 중에 신속히 출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