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세계경제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다소 회복세를 보이면서 2020년 전망치 대비 10.1% 상승한 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하 KIEP)에서 발표한 ‘2021년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백신 개발·보급 지연 및 코로나19의 재확산 ▲미·중 갈등 장기화 ▲금융부문과 실물부문의 괴리 등이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
주요 선진국은 올해 3/4분기 이후 다소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하겠지만, 코로나19 확산 이전의 성장경로로 복귀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큰 폭의 경기침체로부터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겠지만,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내년 초까지 이어지면서 올해 대비 7.8% 상승한 2.8%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EU 지역과 영국은 재정지출의 확대와 수출의 일부 회복에 힘입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부터 다소 회복하면서 각각 올해 대비 13.7% 상승한 3.7%와 17.3% 상승한 4.5%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일본은 소비활동의 제한이 점차 줄어들면서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개최, 세계경제의 회복세 전환 등으로 올해 대비 7.8% 상승한 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신흥국은 코로나19의 확산이 진정될 경우 성장률 둔화추세가 완화되거나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코로나19 대응 경기부양책 ▲투자와 소비 회복 ▲세계경제의 회복세 전환 등 긍정적 요인과 함께 다양한 정부정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면서 장기 성장경로에 근접, 2020년 대비 6.2% 상승한 8.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의 경우 기록적인 경제규모 축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2020년 대비 19% 상승한 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아세안 5개국은 코로나19 확산이 통제되고 경기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할 경우 올해 대비 9% 상승한 5.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KIEP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는 코로나19의 재확산세가 조기에 진정되고 국제유가 급락 등 부정적인 대외충격이 없을 경우 올해 2/4분기를 저점으로 V자형 회복경로를 보이며 2020년 대비 7.7% 상승한 3.2%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브라질은 코로나19 확산이 다소 진정되고 경기부양책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2020년 대비 8.4% 상승한 3.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