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코로나19 영향 속 디지털 서비스 수출 성공, 핵심은 '딥 체인지(D.E.E.P. Change)'
도수화 기자|95dosuhwa@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코로나19 영향 속 디지털 서비스 수출 성공, 핵심은 '딥 체인지(D.E.E.P. Change)'

성공 키워드 4가지…수요 타겟팅(D)·확장기업(E)·전문성 확장(E)·플랫폼 비즈니스(E)

기사입력 2020-12-15 09:07:5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코로나19 사태는 온라인, 비대면 소비 패턴을 확장하며 디지털 기반 기술의 수요를 높였다. 이러한 비즈니스의 흐름에 적절히 대응한 기업들은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도 수출 성공이라는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이하 KITA)가 최근 발표한 '2020 디지털 서비스 수출기업 성공 키워드: 딥 체인지(D.E.E.P. Change)'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서비스 수출에 성공한 기업들의 공통점은 ‘Demand targeting(수요 타겟팅)', ‘Extended enterprise(확장기업)', ‘Expertise expansion(전문성 확장)', ' ‘Platform business(플랫폼 비즈니스)'로 정리된다.

이 보고서는 제57회 무역의 날 수출의탑 수상기업 중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 활동이 우수한 8개 기업의 수출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딥 체인지(D.E.E.P. Change)'라는 성공키워드를 도출했다. 이러한 디지털 서비스 수출 성공기업은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서 꾸준한 현금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기술 응용·혁신을 통해 타깃 시장을 확대해온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영향 속 디지털 서비스 수출 성공, 핵심은 '딥 체인지(D.E.E.P. Change)'

첫 번째 키워드인 'Demand targeting(수요 타겟팅)'은 디지털 마케팅의 활용도가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 기반의 수요 분석을 통해 구매전환율을 높이고 충성고객층을 확보하는 전략을 말한다. 모바일 퍼즐게임 개발사이자 퍼블리셔인 ㈜비트망고는 일차적 타깃인 주요 고객의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서비스를 개선함과 동시에 이탈한 고객을 다시 타깃해 재방문율을 높였다.

올해 누적 7천500만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글로벌 양대 앱스토어 워드 게임 분야에서 1위를 기록한 이 회사의 수출 성공 포인트는 이탈 고객의 이용 데이터 집중 분석을 통한 신속한 업데이트에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디지털 기술 도입을 위해 기술력과 전문성이 확보된 타기업과의 협력을 높이는 'Extended enterprise(확장기업)' 전략도 눈길을 끌고 있다. 핀테크 전문기업 (주)핑거는 신한, 국민, 기업은행 등과 10년 이상 신뢰를 기반으로 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해오면서 신한은행의 베트남, 캄보디아 모바일 뱅킹(SOL) 시스템 개발사업에도 참여해 수출 실적을 제고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수출액이 50배 성장한 핑거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간 230만 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했다.

'Expertise expansion(전문성 확장)' 사례인 ㈜하이퍼커넥트는 주력 서비스의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의 저변을 확장해 수익을 다변화했다. 영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하이퍼커넥트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영상 통화 기술을 AI와 딥 러닝 등 다방면으로 응용해 서비스 저변을 확장하고 현지화 마케팅에도 성공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영상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주목받으면서, 지난 1년간 6천400만 불의 수출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키워드는 'Platform business(플랫폼 비즈니스)'로, AI 기반의 광고 최적화 솔루션 및 모바일 광고 플랫폼에 주력하는 (주)게임베리는 플랫폼 기반 기술을 고도화해 혁신 성장을 이루며 최근 3년간 234%의 수출성장률을 달성했다. 여타 광고 플랫폼과 달리, 실시간 분석을 활용해 광고비 투자 대비 수익을 극대화함으로써 효율성을 입증한 이 회사는 지난해 첫 투자를 유치하기 전까지 외부 투자 없이 매출을 꾸준히 확보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KITA 이준명 수석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오프라인 기반 비즈니스가 한계에 봉착하면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현황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수준 제고와 확산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